책 제목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
책 이미지
책 소개
‒ 좋은 머리는 타고나는 걸까?
‒ IQ가 높으면 머리가 좋은 것일까?
‒ 나이가 들수록 뇌는 정말로 굳어가는 걸까?
당신의 머리는 나쁘지 않다
다만,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를 뿐!
누군가가 당신에게 ‘머리가 좋으냐’고 물어본다면 대부분 기억력(암기력)이나 지능지수(IQ)를 떠올릴 겁니다. 그런데 IQ가 높다고 해서 머리가 좋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일본의 촉망받는 젊은 뇌과학자 모나이 히로무는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에서 IQ가 높다고 해서 머리가 좋다고 단언할 수 없으며, ‘좋은 머리’는 뇌과학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뇌과학에 따르면, 일반적으로는 뇌세포들로 구성된 복잡다단한 정보 처리가 지능을 결정하는 요소라고 봅니다. 바꿔 말해, ‘머리가 좋은’ 상태는 천억 개가량의 뉴런과 백조 개가량의 시냅스로 이루어진 뇌 속 네트워크에 저장된 정보를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는 거죠. 그렇다면 지능은 타고나는 것이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게 아닐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저자는 우리의 뇌는 고정불변한 상태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므로 섣불리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는데요. 즉 인간의 지능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타인과(혹은 사회와) 상호 작용하며 뇌 회로를 수정해 나가면서 완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후천적 노력을 통해 얼마든지 뇌에 새로운 능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머리가 굳어간다고 느낀다면, 연차는 쌓이는데 일머리가 늘지 않는다면, 그건 당신이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뇌과학자가 알려주는 진짜 머리 좋은 사람들의 비밀은?
AI가 대체할 수 없는 유일무이한 지능, ‘뇌 지구력’
모든 게 빠르게 변화하고 AI가 인류의 자리를 넘보는 불안하고도 불확실한 요즘, 시험에서 1등을 한다고 해서, IQ가 높다고 해서, 컴퓨터처럼 사전적 지식을 쭉 풀어내기만 해서는 제대로 살아갈 수 없습니다. 예측 불가한 상황에 도전하는 모험심과 언뜻 관련 없어 보이는 지식 사이에서 유기적 연결을 발견해 내는 창의성(창조성)을 장착하고 있어야 합니다.
실제로 머리가 좋은 사람은 답이 없는 문제에 도전하거나 실패해도 좌절하지 않고 시행착오를 반복해 뇌내 예측 모델을 시시각각 변화시켜 성장해 나갑니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지능이 바로 이 책의 핵심인 ‘뇌 지구력’입니다. 저자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 회로를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는 뇌의 능력은 지금으로서는 AI도 흉내 낼 수 없습니다.
이 책은 뇌과학적·사회심리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지능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부수어 줄 뿐만 아니라, 머리가 좋은 사람들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유전적 차이를 뛰어넘어 뇌의 무한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실용적인 두뇌 단련 메커니즘을 안내합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지성의 지평을 넓혀 나가면서,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두뇌 훈련법을 익혀 어제와는 다른 똑똑한 나로 거듭날 수 있을 거예요!
상세 이미지
당첨 인원
15명
응모 기간
2025/3/2 (일) ~ 2025/3/12 (수)
당첨 발표
2025/3/13 (목) 인스티즈 푸시 알림으로 안내
상품 전달 방법
택배 배송
이벤트 응모 방법
<머리가 좋다는 건 무슨 뜻일까?>를 읽어보고 싶은 이유를 아래 댓글란에 작성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인스티즈 회원 15분에게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
(당첨 시 알려주셔야 하는 정보 : 성함, 휴대폰 번호, 주소, 개인 정보 수집/활용 동의)
그럼 많은 응모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