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징병에 대한 제목+내용 검색 결과
만니군ll조회 2547l 1
이 글은 8년 전 (2015/10/12) 게시물이에요

브금: Dinah Washington - Since I Fell for You



오랜만에 미국 역사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오늘은 22번째 미국사 시리즈이며, 시기적으로는 1960년대를 다룰 예정입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 최강의 강대국으로 올라선 미국.

그러나 1960년대에 접어들자,
미국은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를 맞이합니다.

당시 미국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긴박했던 그 순간으로 함께 떠나 보시죠!

Let's Go!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미국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영광스런 시간이 있다면 단연 '20세기'가 아닐까 합니다.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강대국으로 성장했으니까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사실 20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세계의 주인은 미국이 아니라 '대영제국'이었어요. 하지만 아집에 찬 이들의 제국주의 정책으로 인해 점점 식민지에서 힘을 잃어버렸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국가의 모든 자원을 투입한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한 '물질적 피해'.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친 경제적 삽질은 대영제국을 빚더미로 인도하였고, 2차 대전이 끝난 직후부터 쇠락의 길을 걷게 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대영제국이 나락행 익스프레스를 타는 동안, 반면 미국은 군수 산업에 빵빵하게 투자하여 세계대전으로 엄청난 떼돈을 벌게 되면서 경제 대국으로 성장합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1950년대가 되자 대영제국은 더 이상 미국의 적수가 아니었습니다. 국력을 판단하는 거의 모든 지표에서 미국이 대영제국을 압도하게 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엄청난 번영을 누리게 된 미국.
그렇다면 이들에게는 시련이 없었을까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역사가 참 재미있는 것은 '급격한 성장' 뒤에는 대부분 '부작용'이 뒤따른다는 것입니다. 20세기에 들어, 미국은 뛰어난 통찰력으로 시대의 흐름을 읽은 덕분에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지만,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상대적으로 '내부 단속'에 있어서는 상당한 고생을 하게 됩니다. 배고프다고 너무 급하게 음식을 먹으면 체하는 것처럼 말이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것은 1960년대부터 미국 내에서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간 '저항 운동'이었습니다. 그리고 첫 스타트를 끊은 것은 흑인들의 인권 운동이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1950년대, 경제가 발전하면서 미국인들의 삶은 점점 안락하고 풍요로워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발전의 혜택이 모든 미국인들에게 돌아간 것은 아니었어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백인들의 경제력은 점점 나아지는 상황이었지만, 흑인들과 같은 유색 인종은 가난에 허덕이는 것은 여전했고 인종 차별은 오히려 심해졌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래서 불합리한 현실 속에 지낼 수 밖에 없던 흑인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기본 권리를 쟁취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됩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리고 이러한 생각들은 '투쟁'의 형태로 나타나죠. 당시 흑인들은 남부보다 상대적으로 인종 차별이 적고 일자리가 풍부한 '북부'로 많이 이주했는데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래서 흑인들의 인권 투쟁도 남부에서 북부로 옮겨가는 형태를 띠게 됩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투쟁 초기의 흑인들은 주로 인종 차별을 심하게 하는 사기업이나 불합리한 공공 서비스를 저격하는 '보이콧' 시위를 하며 소극적으로 저항을 벌입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흑인들 왈
: "이즈음에서 인종차별을 그만 둔다면 유혈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백인들 왈
: "그건 좀... 힘들 것 같은데??"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백인들이 콧방귀를 뀌자, 보이콧 운동은 폭력을 동반하는 폭동으로까지 확대됩니다. 더구나 TV가 전국으로 보급되면서 상황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TV를 시청하는 백인들
: "야! 지금 TV봐봐! 흑인들이 클리블랜드에서 또 폭동을 일으켰네. 그냥 놔두면 안될 것 같은데.."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TV에 이러한 보도가 이어지자 백인들은 점점 경각심을 갖게 됩니다. 또한 흑인들의 인권 문제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고 어떤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이러한 투쟁들이 점점 과격해지자, 그간 늘 차별 받고 투명인간 취급을 받곤 했던 흑인들의 입지와 영향력이 커지게 됩니다. 미국인들은 이를 '블랙 파워(Black Power)'라 불렀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흑인들이 들고 일어나자 다른 소수 인종들도 인권 운동에 합류합니다. 대표적인 인종이 바로 '아메리칸 원주민'들이었는데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사실 아메리카 원주민들만큼 미국인들에 의해 처참하게 짓밟힌 인종은 없습니다. 미국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정착하여 미국이란 나라를 만들었던 약 200년 동안,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희생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인구가 어느 정도 규모인지 오늘날까지도 의견이 분분한데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학자들은 희생된 원주민들의 인구가 적게는 수백만 명에서부터 최대 몇 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이 정도 규모면 2차 대전 당시, 나치가 학살한 유대인 인구(600만 명)를 우습게 뛰어넘습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홀로코스트가 아니라 '인종 청소'라고 불려도 될 정도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물론 희생된 원주민 인구에는, 미국인들이 나치와 같이 총/칼/가스를 이용하여 오로지 '학살 행위'로 죽인 원주민보다 '전염병'으로 죽은 원주민들이 훨씬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러나 문제는 면역력이 없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전염병을 옮긴 것도 유럽 출신의 백인들이라는 점이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어쨌든 거의 '멸종' 직전까지 갔던 원주민들의 미국 내 인구는 급속히 증가했습니다. 1970년에는 20년 전보다 두 배 증가한 '80만 명'의 원주민들이 미국에 살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아메리카 원주민 왈
: "우리도 인생을 스스로 개척할 권리가 있고, 우리 유산을 보존할 책임이 있는 사람이라궁!"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원주민들은 보호 구역 내의 자치권을 요구했습니다. 그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졌을까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반반입니다. 미국 정부는 원주민 보호 구역 내에서 일정 범위 안의 법적 권리와 보호권을 보장해주었지만, 이것이 '완벽한' 평등을 의미하진 않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한편, 미국인을 형성하는 또 하나의 인종이 있습니다. 뭘까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바로 '히스패닉 미국인(Hispanic American)'들입니다. 이들 역시 2차 대전 이후에 꾸준히 미국으로 이주를 해왔는데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1960년대에 미국 내 히스패닉 인구는 약 300만 명이 조금 넘었는데, 1970년에는 900만 명, 2000년에는 3,500만 명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리고 2014년 기준, 백인 다음으로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인종이 히스패닉입니다. 이들은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 남부(플로리다, 마이애미 등)에 정착했지만..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사실상 이들이 미국에서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았어요.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이렇게 많은 인구가 미국에 정착하여 힘겨운 생활을 하면서도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히스패닉 사람들은 흑인이나 원주민들과 같이 인권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이죠. 그래서 이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발전시켜나간 속도는 매우 느린 편이었습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런데 이런 소수 인종에 의해 주도되는 인권 운동에 불을 지핀 사건이 있습니다. 다름 아닌 '베트남 전쟁'이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1961년, 케네디 대통령 왈
:"난 어떤 수단과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공산주의와 싸울 것임. 그 대가가 무엇이라도.."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당시 케네디 대통령은 미국의 아이콘인 '자유 시장경제'를 보존하기 위해, 어떻게든 세계가 공산화되는 것만은 막으려고 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미국이 뜨거운 감자라고 생각했던 곳이 바로 베트남이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남베트남이 공산화되도록 놔두면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공산주의가 퍼질 것이라 몹시 우려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그래서 남베트남에 엄청난 무기와 물자를 대주며 대외 원조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원조가 아니라 '소련 세력'과의 전쟁을 의미했어요.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미국은 '베트콩'이라 불리는 남베트남의 게릴라 세력, 북베트남과 전쟁을 시작하며 엄청난 물량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전쟁은 교착 상태로 빠졌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미국인 사상자는 급증했고 엄청난 예산이 소모되자.. 국민들은 등을 돌리기 시작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미국인들 왈
: "아놔~ 뭔 전쟁을 10년 넘게 하냐? 소득없는 전쟁 그만해라!!"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베트남 전쟁의 장기화는 미국인들이 정부를 점점 불신하게 만드는 사태를 초래합니다. 그러자 소수 인종들의 인권 운동에 이어 온갖 사회 운동이 미국 전역에서 벌어지게 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0년대, 미국의 학생들이 들고 일어섭니다. 이들은 '신좌파'를 형성하여 미국 정부를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하기 시작하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학생들은 학교 총장실을 점거하며 농성을 하고, 베트남 전쟁에 투입되는 '징병 제도'를 반대하는 정치적 시위를 하기도 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학생들은 미국 사회에 대한 환멸감을 극단적으로 표출했어요. 긴 머리에 맨발로 돌아다닌다거나, 누더기 청바지를 입고 마약을 하기도 하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당시 유명 아티스트인 밥 딜런, 비틀즈, 그리고 지미 헨드릭스 음악을 들으며 노골적으로 사회에 반항심을 표출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이들은 스스로를 '히피'라 칭하며 하나의 저항 문화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반항적인 성격을 지닌 로큰롤이 경이적인 인기를 끌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젊은 세대들의 패션도 점점 과감해집니다. 여성들은 미니스커트를 즐겨 입고 다녔고, 괴상한 모양의 목걸이를 했으며 꽃무늬 셔츠가 유행했죠.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 인스티즈   

 


이처럼 당시 학생들의 사회 운동은 단순 시위에서 시작되어 음악, 패션 등의 대중문화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며 미국 사회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했죠.

 



< 23편 예고 >

지금까지 1960년대,
미국에서 벌어진 사회 운동을 살펴보았는데요.

1960~70년대는 미국의 역사에서 가장 소란스럽고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 의식과 사회 운동은 비단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의 많은 지역으로 확산되었죠.

다음 편에서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정치 스캔들인 '워터게이트 사건'을 시작으로 1970년대의 미국 역사를 소개해 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제가 작성한 자료가 아닙니다.

연재 시리즈

 

 

 

 

1편 미국은 왜 천조국인가? : 한 눈에 보는 미국역사

2편 한 큐에 읽는 미국역사: 신대륙 개척의 승리자는?

3편 천조국 탄생 스토리: 미국의 건국 과정

4편 미국이 11년동안 대통령이 없었던 이유

5편 미국땅이 하룻밤 사이에 2배로 늘어난 이유는?

6편 텍사스 사람들이 유독 자부심이 쎈 이유

7편 아메리칸 드림의 진실: 미국 '서부 개척시대'

8편 그 전쟁이 알고싶다: 미국 '남북전쟁'의 진실

9편 남북 전쟁 그리고 그후, 우리는 노예가 아니에요.  

10편 미국, 세계 최강이 되다: 거대 자본의 탄생 

11편 천조국의 1900년대 역사: 다 비켜! 세계는 내꺼야

12편 미국 시리즈 전쟁으로 인해 돈방석에 앉은 나라

13편 미국 역사상 가장다이나믹했던 10년 

14편 천조국에도 이런 시절이 있었어? 

15편 미국이 2차 세계대전에 늦게 참전한 진짜 이유

16편 미국이 천조국으로 레벨업하게 된 이유

17편 미국은 일본에 원자폭탄을 꼭 투하해야 했을까?

18편 미국 VS 소련의 전쟁: 냉전과 열전 사이

19편 반으로 쪼개진 세계: 냉전과 철의 장막

20편 미국의 1950년대: Show me the money

21편 어느 흑인의 눈물: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추천  1

이런 글은 어떠세요?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정보·기타 직장인되고 왜 더 사는게 팍팍해지는지 써보자268 수인분당선06.06 22:1284093 25
유머·감동 운전을 너무너무너무 무서워 하는 사람들이 있음.jpg225 알케이0:1664892 22
유머·감동 죽은 뒤 누가 VR을 벗기며 어땠냐고 물어본다면187 311354_return06.06 23:1276958 8
이슈·소식 요즘 말 섞기 싫은 부류. 서울대 에타112 이슈왕06.06 19:3763191 4
유머·감동 신규 여직원이 너무 못생겨서 너무 힘들다..101 엔톤8:5738596 2
징병국가중 유일하게 24시간, 365일 내내 사회와 격리 되어있는 한국군대?3 짐s 12.28 19:51 3038 3
[이때싶] 태양의 후예 등장인물 설명3 6.0 12.24 23:04 1657 0
군인을 개취급 하는 전쟁중인 국가.jpg 씽글즈 11.26 13:35 3475 1
[EU] 온라인 게임 FIFA16, 손흥민 인폼 황은신비 11.24 18:04 2179 0
[EU] 온라인 게임 FIFA16, 손흥민 인폼 황은신비 11.24 12:05 2340 0
김무성 부친 정말 '동명이인'인가? 사실 확인해보니… vovKim 11.10 01:22 2444 1
김무성 부친 정말 '동명이인'인가? 사실 확인해보니… 한남동 주민센 11.09 09:47 3568 0
민족문제연 "김무성 아버지는 친일파 맞다" 일틱 10.28 16:03 802 0
민족문제연 "김무성 아버지는 친일파 맞다" 혀누 10.28 02:51 1159 0
김무성 부친 정말 '동명이인'인가? 사실 확인해보니… gunminkim 10.27 01:06 1313 0
김무성 부친 정말 '동명이인'인가? 사실 확인해보니.. gneng 10.26 23:59 1188 0
[뷰티풀군바리] , 이토록 어글리한 만화1 함지산 10.21 13:44 5787 0
새누리당 김무성대표 가계도ㄷㄷㄷㄷ 더테러라이브 10.18 23:50 2190 0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만니군 10.12 13:35 2547 1
미국 역사 시리즈, 우리도 사람인데 왜 차별하죠? 호르랑카 10.12 11:15 4194 1
대한민국 징병제의 위엄1 원칙 10.04 18:26 1525 0
대한민국 징병제의 위엄1 그리운마음이 10.04 10:20 1670 1
민족문제硏 "김무성 부친 일제군용기 헌납 독려 광고"(종합) 까리함 09.24 19:01 289 0
日 정치인, 일본도 한국을 본받아 징병제를 도입하자 지포지쓰리지 09.24 17:59 628 0
미친듯한 현재 JTBC ㅎㄷㄷㄷㄷ53 조청길만걷자 09.24 17:20 11772 19
급상승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