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미국 선거에 대한 제목+내용 검색 결과
영은수ll조회 633l 2
이 글은 5년 전 (2018/12/14) 게시물이에요

미중 무역전쟁 관련 기사들을 보면 뜬금없이 왠 '콩'이 등장하는가 궁금해한 적이 있을 것이다. 반도체니, 미래 기술이니, 지식 재산권이니 하는 거창한 주제를 가지고 싸우는 전쟁터에 갑자기 왠 '콩'이란 말인가? 콩은 왜 미중 무역분쟁에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했는가? 왜 트럼프는 콩을 가지고 중국을 압박하는가? 콩은 중국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그것을 알려면 먼저 돼지고기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중국인들은 책상 빼고 네 발 달린 것은 다 먹는다'는 말이 있다. 물론 다소 과장이 섞여 있지만, 터무니없다고 일축하기는 어렵다.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면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중국 요리는 풍부한 식재료와 다양한 양념을 바탕으로 한 불과 기름의 향연이다. 보는 것도 즐겁고 맛보는 것도 즐겁다. 중국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다채로운 재료를 활용한 요리가 많다.


'네 발 달린 생명체는 다 먹는다'는 중국인들의 사랑을 수천 년 동안 독차지한 고기가 있다. 중국인들에게 일종의 소울 푸드(soul food)로 간주되는 돼지고기다. 중국인들의 돼지고기 선호는 소고기를 특히 좋아하는 유럽인과 비교된다. 근대 유럽인들은 소고기에 대한 열망이 강해 소고기 요리의 맛을 돋우는 후추와 같은 향신료를 찾고자 원양으로 나아가 새로운 항로를 개척했다. 아일랜드에서는 농사를 지어, 백성들을 먹일 땅을 목초지로 만들어 소를 키웠다. 곡류가 부족해서 굶는 사람이 등장해도 소고기에 대한 사랑은 식지 않았다.


그러나 유럽과 달리 중국에서는 소가 식재료보다는 '농기구'이자 '운송 수단'으로 쓰였다. 짐을 나르고 밭일 같은 중노동을 하다 보니 온몸이 근육질이었다. 일만 하는 역우(役牛) 고기가 먹고 살만 찌운 비육돈(肥育豚) 육질을 따라갈 수 없었다. 맛으로 소고기가 돼지고기를 이길 수 없었던 것이다. 중국인들에게 돼지고기는 다른 고기들과는 격이 완전히 다른 존재이다.


보통 돼지고기를 칭할 때는 그냥 '고기(肉)'라고 한다. 게다가 한자로 집을 뜻하는 家는 우리 안에 돼지를 기르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에 반해 다른 고기는 정체성을 분명히 하여 일컫는다. 쇠고기는 우육(牛肉), 양고기는 양육(羊肉), 개고기는 구육(狗肉)이다. 돈육(豚肉)은 한국식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음식은 세계로 뻗어나갔으며,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다.


중국 음식점에 가면 고기 종류는 언급하지 않은 채 육(肉)자만 붙은 요리를 볼 수 있다. 이런 음식은 하나같이 돼지고기 요리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중국사에서 당(唐)·송(宋) 시대는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뛰어난 문장가들이 연거푸 등장하여 중국 문학의 기틀을 잡은 시기이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에서도 소동파가 탁월하다. 소동파의 시는 가볍지 않고 이지적이면서 철학적 요소가 짙다. 맛으로 치면 묵직하다. 소동파의 명성은 비단 송나라에만 머물지 않았다. 고려나 조선의 지식인 중에서 소동파의 시를 읽지 않은 이가 없었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소동파는 시문은 물론이고 그림, 글씨, 의학, 심지어 요리 연구에도 재주가 있었다. 미식(美食) 사랑이 지극해 '동파주경(東坡酒經)'이란 요리책까지 남겼다. 소동파의 재능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만능 재주꾼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와 견주어도 결코 밀리지 않는다.


소동파가 개발한 요리 중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극찬받는 음식이 둥포러우(東坡肉)이다. 한국에서는 '동파육'이라 불리는 이 요리는 소동파가 저장성 항저우에 살 때 개발한 것이다. 잘 만든 둥포러우를 한입 베어 물면 고기가 혀에서 녹는 터라 이가 할 일이 없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바로 고소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주는 비계 덕분이다. 부지불식간에 고기가 뱃속으로 내려간다. 술은 요리의 풍미를 더한다. 둥포러우를 더욱 맛나게 즐기려면 좋은 술을 곁들여야 한다. 찹쌀 발효주인 사오싱주(紹興酒) 한 잔을 둥포러우에 곁들여 들이키면 금상첨화다. 사오싱(紹興)은 소동파가 살았던 항저우에 이웃한 도시 이름으로, 둥포러우가 이 술을 만나면 이웃사촌을 만난 것과 같다. 둥포러우의 '러우(肉)'도 다른 고기가 아닌 돼지고기이다.


한편 한국에 있는 중식당에서 '국민 음식'으로 불리는 메뉴는 달달한 고기튀김의 대명사 탕수육(糖水肉)이다. 탕수육은 한국에 건너와 현지화된 중국 요리로서, 역시 돼지고기로 만든 요리이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탕수육의 중국 본토 친척인 궈바오러우(锅包肉)도 돼지고기 요리이다. 중국인들은 돼지고기가 아닌 다른 고기를 사용해 요리한 음식은 어떤 고기로 만들었는지 친절하게 설명한다. 닭고기를 녹말을 묻혀 튀긴 후 매운 양념을 입힌 라조기(辣子鷄)는 주당(酒黨)의 입을 즐겁게 하는 안주다. 라조기를 음미한 후 입이 매워지면 시원한 맥주로 씻어내 보자. 마치 작은 천국에 온 느낌이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2017년 중국은 세계 돼지고기 소비량 1억 1,059만 톤의 절반에 해당하는 5,494만 톤을 소비했다.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은 소비량보다 적으므로, 부족한 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한다. 돼지 사육 두수도 2016년 기준 4억 5,113만 마리로 세계 사육 돼지 중 절반이 중국에 있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중국의 1인당 고기 소비량은 미국의 절반인 107.6파운드에 불과하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그러나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으로 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중국의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미국과 유럽을 능가한다. 이것이 함의하는 바는 엄청난데, 중국의 1인당 GDP가 미국의 8분의1, 유럽의 5분의1 수준인데도 불구하고, 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은 오히려 선진국을 능가하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쌀보다 훨씬 고칼로리 음식인 돼지고기를 1인당 연간 38.6㎏이나 먹는다. 2020년이면 1인당 소비량이 연 40㎏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즉, 중국에서 돼지고기 요리는 반찬(飯饌) 개념이 아닌 주식(主食)의 관점에서 들여다보아야 한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파란색: 소, 초록색: 닭, 빨간색: 돼지 /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량은 닭과 소를 합한 수치의 3배 이상에 달한다)


중국 경제에서 돼지고기가 차지하는 위상은 대단하다. 소비자 물가 지수(CPI)에서 돼지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3%에 달한다. 돼지고기 관련 산업 종사자 수도 1억 명을 훌쩍 넘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미국과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량 추이)


따라서 통제 불가능한 가축 전염병이 창궐하거나, 사료 공급에 문제가 생겨 돼지고기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면, 물가는 물론이고 경제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끼친다. 주식 공급이 흔들리면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정치 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다.


그런데 중국 돼지들은 옛날처럼 잔반을 먹지 않는다. 현대 중국의 돼지들은 콩을 먹고 자란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콩기름을 짜고 남은 대두박(大豆粕)이라고 하는 깻묵을 가공한 사료를 먹는다. 바로 여기서 미중 무역분쟁의 열쇠 중 하나인 콩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콩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단백질 함유량 30~50%, 지방도 13~25%나 함유하고 있어,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불릴 정도다. 콩은 좋은 품질의 돼지고기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중국 당국이 좋아할 수밖에 없는 사료이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그러므로 세계 콩 수입의 63%가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그다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중국의 양돈 산업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바로 돼지에게 먹일 콩이 굉장히 부족하다는 점이다. 중국은 세계 1위의 콩 소비국이지만, 2017년 기준 생산량은 1,420만 톤에 불과하다. 그래서 작년에는 9,600만 톤의 콩을 수입하여 부족한 생산량을 보충했다.


한편 콩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중국으로부터 세계로 퍼져나갔다고 할 수 있다. 콩이 북아메리카에 된 것은 19세기 초의 일이었다. 그 전까지 미국에는 콩이 없었다. 미국이 막대한 양의 콩을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아이러니한 현실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해마다 천문학적인 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입장에서는 국부(國富)가 잠재 적국인 중국으로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의미로 여길 수 있다. 심각한 불균형은 손해를 보는 측에서 참기 힘들다.


그동안 내재되어 있던 미-중 무역 불균형 문제가 도널드 트럼프의 집권 이후 마침내 폭발했다. 양국은 엄청난 규모의 관세 폭탄을 서로에게 투하한다. 학계와 언론에서는 처음에 '무역 분쟁'이라는 표현을 썼으나, 이제는 '무역 전쟁'으로 불리고 있다. 양쪽이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는 형태가 아니라 상대가 완전히 굴복할 때까지 다투리란 전망도 나온다. 일찍이 세계가 경험해 보지 못했던 두 대국의 '경제 전쟁'은 개전 이전부터 중국이 아닌 미국에게 유리한 구도로 짜여져 있었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미국은 중국에 수출은 적게 하고 수입을 많이 한다. 반대로 중국은 미국에 수입을 적게 하고 수출을 많이 한다. 사정이 이러하니 관세 폭탄을 각자의 수입액에 모두 부과할 경우, 미국이 가진 폭탄의 양이 중국에 비해 4배 가량 더 많은 셈이 된다. 미국은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류 중 상당 부분을 다른 나라에서 조달할 수 있다. 미국이 중국을 압박할수록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에 "중국에서 철수하여 다른 나라로 가라"는 시그널이 전달된다. 제조업 흥기를 통해 경제 대국으로 굴기(崛起)한 중국에서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전개되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무역 전쟁에서 엉뚱하게 폭탄을 맞은 측은한 동물이 있다. 다시 돼지로 돌아가 보자.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세계 콩 생산량의 34.5%는 미국에서 나온다)


중국은 미국의 조치를 부당하다고 여기고는 곧바로 같은 규모로 맞대응했다. 양국의 이러한 행동은 사실상 해당 제품의 자국 내 금수 조치이다. 그런데 중국이 지정한 추가 관세 부과 제품에 뜻밖의 품목이 있다. 냉정하게 판단했다면 넣지 말았어야 할 '콩'을 포함한 것이다. 콩은 중국인의 주식인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상품이다.


중국인들에게 콩은 매우 중요하다. '지지고 볶는' 중국 요리를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기름의 원료도 대두가 아닌가? 매일 먹다시피 하는 두부와 간장도 콩으로 만든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중국은 사료 부족으로 인해 양돈 농가에 큰 혼란이 생기는 동시에 소비자 물가에도 악영향이 미칠 것을 각오하고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 물론 이유는 분명히 있다. '아메리카 퍼스트'를 외치며 무역 전쟁을 일으킨 트럼프에게 정치적 타격을 주기 위함이다.


중국은 러스트 벨트(Rust Belt: 미국의 쇠락한 공업 지대)와 함께 트럼프를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는 중부 팜 벨트(Farm Belt) 유권자들에게 타격을 입혀 미국의 중간 선거에 영향을 끼치려고 하는 것이다. 팜 벨트는 미국 중부 대평원에 터를 잡은 네브래스카, 미주리, 아이오와 등 10개 주를 가리킨다. 비옥한 토양과 풍부한 지하수원을 갖춰 대규모 경작에 이상적인 곳이다. 팜 벨트에서 재배하는 전통적 곡류는 옥수수와 밀이었으나, 대 중국 수출이 급증하면서 콩을 키우는 농가가 늘어났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미국의 콩 생산 지역 분포)


미국에서 수확하는 콩의 95%가 바로 팜 벨트에서 경작된 것이다. 미국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도시에서는 진보 정당(민주당)이 강세를 띄고, 농촌에서는 보수 정당(공화당)이 강세를 띈다. 공화당 소속인 트럼프는 곡창 지대인 팜 벨트 농부들로부터 인기가 대단히 높다. 미국 농부들은 경제적 약자가 아니다.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대형 농장을 기반으로 곡물을 경작하기 때문에 대단한 경제적 여유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직화가 잘 되어 있어 사회적인 영향력도 크다.


"돼지가 문제다"


2017년 미국의 대 중국 콩 수출액은 140억 달러에 달한다. 아무리 미국이 농업 대국이라고 하더라도 140억 달러라는 금액은 엄청난 수준이다. 콩 수출액은 미국 농업의 상징인 소고기 전체 수출액의 두 배에 달한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2017년 미국 농산물 수출의 1위 품목은 216억 달러 상당의 콩이 차지했으며, 2위는 91억 달러 상당의 옥수수이다. 견과류와 소고기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이렇게 중국은 자신의 팔을 자르면서 상대의 급소를 공격했으나 미국은 버텨 냈다. 미국 정부는 수출길이 막힌 대두 생산 팜 벨트 농민들에게 120억 달러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농민들은 일시적인 해소책보다는 무역의 재개를 원하지만, 미국 정부는 보조금으로 농가를 달래는 선택을 했다. 그리고 더 큰 칼을 빼들고는 중국을 향해 대대적으로 휘둘렀다. 중국의 대미 수출액 전체에 관세 폭탄을 안기겠다는 엄포도 빼놓지 않았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중국 식용유 소비량의 44%, 생산량의 55%는 콩기름이다)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은 콩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콩기름과 돼지고기를 먹지 말라고 요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렇게 할 경우, 국민들로부터 무능하다는 비판이 쏟아지면서 돼지고기 때문에 정권이 위태로워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미국 입장에서 콩을 무기로 하는 무역 전쟁은 타격을 받기는 하지만, 그렇게 심각한 타격은 아니다. 농민들이 중국에 콩을 수출하지 못하게 되어 일시적으로 재고가 쌓일 수 있겠지만, 실상은 그렇게 전개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공급받던 콩을 브라질에서 수입하고자 한다. 그러나 농산물은 부족하면 더 찍어 낼 수 있는 공산품과는 다르다. 밭을 새로 하거나 경작하는 곡물을 바꾸는 데 수년의 세월이 걸린다. 그리고 브라질 혼자의 힘만으로는 미국산 콩의 공백을 메꿀 수 없다.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 | 인스티즈

중국 입장에서는 세계 각국의 콩을 모조리 수입해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데다 비용도 많이 든다. 브라질은 중국에 기존의 수출 가격보다 대폭 인상된 가격으로 콩을 수출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브라질 국민들이 먹을 콩이 고갈되면 미국 창고에 쌓인 콩을 수입하면 그만이다.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가 중국에 콩을 비싸게 팔고, 미국산 콩이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내수용이 되는 것이다. 중국에게는 하필 '콩 전쟁'이 벌어진 시기도 별로 좋지 않다. 남반구의 콩 수확 철은 2~5월이다. 북반구는 9~12월이다. 남반구 창고에 보관된 콩은 가을이 되면 거의 고갈된다. 즉, 소진될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


반면에, 북반구의 창고는 조만간 콩으로 가득차게 된다. 미국이 콩 창고 문을 완전히 잠그면 중국에게는 악몽과도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그 많은 중국 돼지들은 올겨울에 살아남을 수 있을까? 사료를 옥수수로 바꾸는 일도 쉽지 않다. 중국이 돼지 사료 해결책을 찾지 못한다면, 무역 전쟁은 '돼지 먹일 밥'으로 인해 중국이 굴복하는 형식으로 종결될 수도 있다. 콩 창고가 비기 전에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돼지가 문제다.


동서고금을 가리지 않고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곧 먹고사는 문제였다. 중국 입장에서는 식량 및 자원을 틀어쥐고, 금융까지 소유한 미국을 상대하기가 여간 까다로운 게 아니다.




네이버 부흥 카페 'Peter II' 님

추천  2

이런 글은 어떠세요?

 
  벌레
우앙 재밋달
5년 전
하시모토나나미  乃木坂46 永遠に
중국인은 돼지고기 사랑함
근데. 돼지한테 콩을 먹여서 키움
그래서 미중 무역에 콩이 중국에게 약점이됨

5년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유머·감동 연예인 따라 바싹 말리는 거 = 대갈장군 당첨이라는 유튜버270 S.COUPS.9:1761962
유머·감동 [네이트판] 입양아라 양보하라는 오빠들(추가)152 멍ㅇ멍이 소리9:4645576 0
이슈·소식 현재 상간녀가 쓴 편지때문에 난리난 블라인드.JPG132 우우아아11:2635731 2
이슈·소식 더현대 서울 승강기에서 '심정지' 발생한 고객311 311328_return06.17 23:2288112
유머·감동 어제자 연대 에타에 등장한 쾌녀.jpg245 콩순이!인형9:5648244
전문가가 보는 '북미협상'의 진행상황과 전망.txt NUEST-W 12.15 17:08 93 0
주민소환제 실시의 의의 초코틴틴세븐 12.15 13:32 189 0
'트럼프 성관계 입막음' 코언 징역 3년…트럼프 궁지 쿵쾅맨 12.14 15:57 381 0
미중 무역전쟁에서"콩"은 왜 중국의 약점이 되었을까?2 영은수 12.14 14:23 633 2
진보적 의제는 의외로 헌법재판소에 달려있다 (feat.동성혼 낙태죄) 원우얌 겨론 12.11 05:17 110 0
빚의 만리장성중국의 폭탄 돌리기는 언제 멈출 것인가? 남준선배 12.05 08:09 640 0
미국은 왜 중국의 핵 개발을 막지 않았나? NCT 지 성 12.04 07:40 720 1
"풀을 뜯어먹는 한이 있더라도 핵무기를 만들겠다!"파키스탄의 핵개발 윤세원 12.03 22:34 1244 1
시리아 내전의 주요 7개 군 세력 정리 언행일치 11.30 00:58 780 2
​"한국을 탈출한다" 국적포기자 3만명 돌파…10년 만에 최고 천재인 11.24 19:16 575 0
시리아 내전의 주요 7개 군 세력 정리 조이야 이쁘 11.23 02:34 268 0
헝가리 반난민법 패키지 통과 - 난민 도우면 최대 징역 1년까지-이게 현실 내 마음속에 11.18 16:11 252 0
오염수 마시는 척한 오바마.. 정치쇼가 불러온 엄청난 결과 WANNA ONE 하 11.16 18:44 778 1
36세 미국 한국계 하원의원 엠디김.jpg 오이카와 토비 11.15 17:22 438 0
김어준의 뉴스공장 -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인터뷰 전문ㅋㅋㅋ ''' 11.10 22:26 135 0
2018 미국 중간 선거 상원, 하원 중간 결과 패딩조끼 11.07 13:19 322 0
남경필 친일파 집안이라 꺼려지셨던 분들 보시긔!! (+남경필 tmi들) 알케이 11.06 23:53 466 0
프랑스 식민지 뉴칼레도니아 이야기 세기말 11.06 11:28 1404 0
현재 3일 남은 미국 중간 선거 김밍굴 11.04 08:02 496 0
남경필 친일파 집안이라 꺼려지셨던 분들 보시긔!! (+남경필 tmi들)1 송희진 11.02 20:01 1366 4
전체 인기글 l 안내
6/18 17:14 ~ 6/18 17:16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