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은 정말 대한민국을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바랬던 사람 중에 하나 같아!
그 이유는 일제강점기때 이루어진 민족 말살 정책을 가볍게 살펴만 봐도 알 수 있어
일제강점기때 문화통치 정책 속에서 크게 4가지를 이야가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책의 목적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어서 일본의 통제 속에서 지배하기 위함이걸랑?
1. 언어의 통제: 일본어 사용을 강제로 하게 하면서 조선어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언어통제가 이루어진건 다들 알고 았지? 이 것으로 인해 조선어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일본어가 조선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음
2. 교육의 통제: 일본식 교육제도가 도입되었고 일본식 교육이 강제화되었어 조선인들은 일본어와 일본 역사, 일본문화를 배워야 했고!
최귿 기사 중 최상목 대행이 고교의 무상교육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 했는데 과연 왜 거부 했는지에 대해 연관이 깊어 보여 또한 집회 참석 하는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회룰 박탈 하려는 고교들도 그렇고!


교육의 권리·의무 (모든 국민이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말한다(헌법 제31조1항).
이 권리는 일정한 자격과 학력이 있는 자가 주로 경제적 이유 내지 지역적·시간적 이유로 현실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없을 때에 국가에 대하여 교육을 시켜줄 것을 청구할 수 있고, 국가는 이에 대응하는 의무를 지는 적극적인 수익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권리는 ‘교육의 기회균등’의 원칙이 사실상 유린되었던 초기 민주국가에서는 볼 수 없었던 현대적인 수익권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 권리를 실효성 있게 하기 위하여는 광범위한 무상교육제도·학비보조제도·급비제도·장학제도의 채택은 물론, 학교를 지역적·종별적으로 공평하게 배치할 것, 유직자의 수학을 위하여 야간제·시간제 기타 특수한 교육방법을 강구할 것 등 일련의 적극적 수단이 필요하다.
교육의 의무란 모든 국민이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적어도 초등교육과 법률이 정하는 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말한다(헌법 제31조2항). 이 의무는 진보적 사상에 입각하여 국민의 교육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 개인의 지성향상을 기하는 동시에, 국력의 부강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인류문화의 진화에 이바지한다는 근본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3. 출판의 통제: 출판에 대한 검열과 강제적인 일본어 사용이 이루어졌고 또한 교과서의 내용도 일본 국가주의적인 내용으로 바뀌었어 ㅠㅠ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우리 아이들의 교과서에 역사 왜곡 논란이 꽤 크게 다루었는데 이게 전부 깊게 침투해 있다는 증거라고 봐 나는


4. 문화의 통제: 조선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일본식으로 개혁하고, 일본 문화를 조선에 보급하는 등의 문화통제가 이루어졌는데 최근 왜 일본의 문화들이 우리 생활 속 삶의 터전에 깊게 침투 했는지에 대해 생각 해 볼 필요가 있음

거제식물원 습지생태관 사진





이러한 일제강점기 문화통치 정책은 조선의 문화와 정체성을 파괴하고,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을 강력하게 밀고 나간는 데 큰 역할을 했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