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로제에 대한 제목+내용 검색 결과
sdooj3ll조회 397l 4
이 글은 13년 전 (2010/7/21) 게시물이에요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일본으로 떠나는 덕혜옹주 (1925년3월28일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고종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이토히로쿠니 공작과 조동윤 남작(1919년2월9일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삼전에 참배하기 위해 영친왕과 함녕전을 나서는 고종의 모습(1918년1월15일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덕수궁 석조전 앞 기념촬영.
1918년 1월 23일 오후 2시경 영친왕의 귀국을 기념하여 촬영된 사진으로 당시 고종을 비롯한
각계인사들을 모 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이날 기념촬영에는 이왕직 관리들과 중추원 인사들,
총독부 관료들과 일본 군인과 경찰 고위 관계자들이 참가하여 총 3장의 기념 사진을 찍었다.
그 중 이 사진은 일본 인사들이 중심이 된 사진으로 당시 조선을 지배하던 인물의 면면을 보여준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도자기에 휘호하는 영친왕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사진기로 창경원 하마를 촬영 하는 영친왕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수업을 마친 덕혜옹주가 교문 을 나와 마차에 오르려 하는 모습을 찍었다.
일본풍의 교복 치마를 입고 머리에는 양식 모자를 쓴 그는 다소곳이 고개를 숙인 모습이다.
뒤에는 한복을 입은 시종 이 겉옷을 들고 따르고 있다. (1925년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고종의 막내딸로 비운의 일생을 살았던 덕혜 옹주가
경성 일출 심상소학교에서 일본 급우들과 함께 일본어 수업을 받는 모습 이다.
뒤쪽에 학교 교사들과 수행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업 광경을 연출한 것으로 보이는데, 1925년 3월
강제유학을 떠나기 직전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

정중앙에 있는 흰 얼굴의 앳된 소녀가 덕혜옹주다.얼굴에 애잔한 기색이 감돈다. 아이들이 들고 있는
교과서에 쓰여진 ‘국어’란 명칭은 일본어를 뜻한다.1925년 3 월께 일본으로 강제유학을 떠나기 직전 찍은
사진으로 보고 있다. 일출심상소학교는 서울 충무로 현 극동빌딩 자리에 있었던 일본인 전용 학교였다.(1925년)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군복차림의 영친왕이 1918년 1월25일 경성유치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찍은 사진이다.
당시 사진첩 기록을 보면 그는 원아들의 재롱 섞인 유희를 감상했다고 한다. 원아 가운데는 그의 형제
의친왕의 아들인 이 우가 포함되어있었다.(1918년 1월25일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영친왕이 조선 방문을 마치고 당시 남대문역(현 서울역)에서 도쿄행 열차를 타기 직전의 모습이다.
연미복 입은 수행원들과 함께 거수경례를 하며 플랫폼을 걷고 있다.(1918년 1월26일 촬영)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1919년 2월 9일 고종 황제가 승하한 거처인 창덕궁 함녕전에서 일본 왕가 장례의식인 봉고제(장례를하늘에 알리는 의식)가 열렸다.


사진은 함녕전에 차려진 일본 신사풍의 제단 앞에서 황실유족과 일본 제관, 총독부 관계자들이 의식을
치르는 장면이다. 정면 깊숙이 황제의 거처쪽에 일본식 제단을 중심으로 일본 전통 복식을 입은
제관이 가장 앞자리에, 조선의 전통 굴건 제복을 차려입은 유족이 그 뒤에 어색하게 선 모습은
쇠락한 황실의 처지가 도드라진다.

왼쪽 문 바로 옆에서 힐끗 카메라를 보 고 있는 인물이 당시 총독 하세가와다.
그 옆에 화려한 견장의 제복을 입은 정무 총감 야마가타의 모습이 보인다. 고유의 왕실의례조차
일본식을 강요당했던 당시 황실의 실상을 단적으로 증언하는 소중한 사진이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이승만이 그의 저서 '독립정신'(1910)에서 명성황후로 지명한 사진.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주한 이탈리아 공사 카를로 로제티의 '꼬레 아 꼬레아니'(1904), 우리나라에 왔던 미국 선교사
호머 헐버트(1863~1949)의 '대한제국멸망사'(1906) 등에 실린 사진이다.

- 호머 헐버트씨 는 1906년 발간된 `한국 견문기'138쪽에서 `궁녀'라고 소개(왼쪽).
(오른쪽)독일 출신 작가의 사진첩에서 나온 것이다.'시해된 왕비'라는 뜻의 독일어(Die Ermodete Konigin)
설명이 붙어 있고 대원군의 평상복 사진과 배경이 같아 일부에서는 명성 황후로 추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미 1890년대 초반 발간된 미국 국립박물관 보고서, 영국 잡지화보 등에 '조선의 궁녀'라는 설명과
함께 실린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위 왼쪽 사진 ; 고종, 순종,
오른쪽 ;독일어로 ‘Palastdame’(궁녀),영어로 ‘ Attendant On The King of Korea'
(조선 왕의 시종)란 설명이 붙었음.아래 사진; 대원군 - 이 하응
오른쪽은 중국풍 복식 차림의 대원군 , 이하응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상중의 이건 연미복 입은 고종 황제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영녕전 참배 의식중인 영친왕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경성 일출심상 소학교 시절의 마지막날 덕혜옹주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송별회장에 전시된 덕혜옹주의 작품으로 , 자수와 서화에 남다른 소질이 있었다고 전한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덕혜옹주와 동급생, 선생님이 모여 기념사진을 찍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홍릉 입구의 홍살문홍릉에 배치된 3조의 홍살문 중 나로 현재 전하지 않는 문이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 인산에 참여 한 나인들 - 재궁의 봉안을 마치고 내려오는 나인들의 모습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융희황제(순종) 장레식 (국상),인산습의 광경을 사진사가 카메라에 담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금곡으로 향하는 인산 행렬 - 인산행렬 중의 죽안거마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창경궁 인정전창경궁은 조선왕조 태종 연간에 지어진 이래 가장 오랫동안 국왕들이 기거하며
활동했던 궁궐이다. 다른 궁 궐들이 그렇듯 창덕궁 역시 일제시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지거나 변형되어 본 모습을 거의 잃어버렸다.

사진들은 1910년 일제에 의한 강제 병합 이후 1917년 내전 일대에 화재가 발생하기

이전 창덕궁의 모습 을 담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황실 가족사진 - 고종을 중심으로 순종과 순정효황후,
영친왕, 덕혜옹주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1918년 1월21일 촬영된 것이다.
 당시 발행된 매일신보는 이 사진에 대해 모두 모여 함께 일본 요리로 식사를 한 후 찍은 사진이라고 전한다. 즉 영친왕의 일시 귀국을 기념하는 가족사진인 것이다. 사진은 덕수궁 석조전 내부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세부 장식까지 자세히 엿 볼 수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석조전 오찬에 나아가는 고종가마에 탄 고종이 영친왕 방문 기념 오찬회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배에서 내리는 영친왕
영친왕이 이하계의 안내로 배에서 내리며 거수경례로 마중 나온 관민들에게 답하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총독 관저 내부로 들어어가는 영친왕

영친 왕이 윤덕영 자작(오른쪽)과 총독부관리들의 인사를 받으며 총독관저로 들어가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남대문에 도착한 영친왕
1918년 1월13일 오후 9시경 남대문역에 도착한
영친왕이 2대 총독인 하세가와 요시미치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운현궁 양관운현궁 내에 자리 잡은 양관은 일본인이 설계 시공한 건물로, 흥선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의친왕의 차남인 이우의 소유였다가, 해방이후인 1946년에 학교법인 덕 성학원이
소유하게 되면서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사무처로 사용되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기에 지어진 대표 적인 서양식 건물로 영국인 기사 하아딩(G.R.Harding)
의 설계에 의해 1900년말 착공되어 1910년 6월 완성되었다.

시종인들의 거실을 두고 2층에 접견실과 홀,3층에 황제와 황후의 침실, 거실을 두었다. 19세기 고전주의적
양식을 답습하여 총 면적 1,264평으로서 일제 강점기 전 기간중 가장 규모가 큰 순석조 건물로 세워졌다.
이후 석조전은 고종이 주로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쓰이다가 1933년부터 창경궁
이왕가박물관의 분관으로서 일본 근현대미술품을 전시하는 장소로 전용되었다.
뒤이어 1938년 개관된 석조전 신관에 이왕가박물관의 전통미술품이 전시되고
2동의 건물 모두가 전시장으로 쓰였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창덕궁 상궁들과 기모노 복장의 일본 여인
한국사진계 선각자인 백오 이해선(1905-1983)선생 탄신 100년 기념으로 선생이 생전에 촬영한 사진작품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이방자 여사와 함께 받은 덕혜옹주의 생일상.
한말 황실의 모습을 보여주는 희귀 사진이 발견됐다.
최진연 대한사진예술가 협회 회장은 25일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조선 황실 사진을 공개했다. 1962년 일본에서 귀국한 덕혜옹주가 생일을 맞아 이방자 여사와 함께 촬영된 사진이다.
이 사진은 한국 사진의 선각자이자 흥완군(대원군의 형)의 손자 고 이해선(순종의 육촌형제, 민영환의 사위)
선생의 유품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당시 조선 황실의 사정 을 잘 보여주고 있다.
촬영자는 미상. 이 사진들은 31일부터 열리는 대한사진예술가협회 창립 60주년과 백오 이해선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회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오열하는 궁녀들
조선 마지막 순종효황후 윤씨의 승하일 창덕궁 낙선재에서 황실의 궁녀들이 오열하고 있다.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구한말 기록된 비운의 왕족
왼쪽부터 영친 왕, 순종, 고종, 귀비엄씨, 덕혜옹주 모습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
구한말 황족 한자리에
왼쪽부터 덕혜옹주, 이방자 여사, 윤황후, 순종, 영친왕, 영친왕의 아들 이진, 이진을 안고 있는 사무관

비운의 마지막 황실 | 인스티즈추천  4


 
ㄷㄷㄷ
13년 전
사진이 깨져서 그런가 왜이렇게 으스스 ㅋㅋㅋ
덕혜옹주는 고우셨네요

13년 전
덕혜옹주가....일본에 다녀오신뒤 많이 힘들어하시고 정신질환도...앓으셨다.......고아는데
13년 전
일본 니들은 폭탄 딱 한개만 더 맞고 얘기시작해보자.
13년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유머·감동 사람마다 다 갈린다는 "누가 여주인가?"326 똥카15:2245425 1
유머·감동 공짜로 초초초초초초초초호화 웨딩하기 vs 그냥 내 돈주고 하기294 꿍치따치14:3852580 10
이슈·소식 실시간 성범죄자로 몰리는중인 디시인 ㄷㄷㄷㄷㄷㄷ255 꾸라:)8:3490482 11
이슈·소식 박재범 온리팬스 오픈.JPG (후방주의)173 우우아아12:3970640 7
유머·감동 보라색 간장게장 먹고 장염걸림136 몹시섹시11:0666699 4
병맛 독일 국대의 쩌는 예능감7 시스(SiS) 12.14 16:26 986 7
한국인은 원래 혼혈인종이었다24 타락천사 12.10 15:13 1688 25
비운의 마지막 황실5 오드리될번 12.07 09:12 1060 5
내 탄생석 찾기31 시우너아 10.24 20:20 967 24
4년 연속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된 곳.jpg8 A.I 10.22 03:08 898 8
병맛 독일 국대의 쩌는 예능감8 sdooj3 10.06 08:24 847 8
비운의 마지막 황실2 dkssyd 09.29 09:08 548 3
비운의 마지막 황실3 A.I 08.22 17:24 612 4
4년 연속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된 곳.jpg18 시스(SiS) 08.13 23:12 730 18
병맛 독일 국대의 쩌는 예능감6 푹킥푹팍 07.29 01:48 654 6
비운의 마지막 황실4 sdooj3 07.21 23:00 397 4
2018년 1분기 일드라인업 Wannable(워너 01.18 23:40 1225 0
2018년 1분기 일드 라인업 Wannable(워너 01.18 19:14 136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