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미국 선거에 대한 제목+내용 검색 결과
노츄캡짱ll조회 194l
이 글은 5년 전 (2018/12/23) 게시물이에요

문사홍님의 타임지 올해의 인물 - 문재인 대통령님 번역


타임지에 우리 대통령에 관한 멋진 소개가 나왔는데, 우리 대통령은 자기 칭찬은 부끄러워해서 아직까지 번역을 안올리고 있음. 그래서 답답해서 내가 번역함.


"The South Korean leader took a gamble on diplomacy to avert a global crisis
국제적 위기를 반전시키기 위해 외교적 모험을 건 대한민국의 지도자"

It was past midnight on May 25, and the mood in the hastily convened national-security meeting in Seoul was dark. U.S. President Donald Trump had just canceled his forthcoming summit with North Korean Supreme Leader Kim Jong Un. Although the official record describes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as simply "perplexed" by the decision, one source present reveals his actual choice of words was so unrestrained it should be considered a "national secret." But Moon has never been one for public histrionics. Instead, he got to work.
5월 25일 자정이 넘은 시각이었다. 서울에서 서둘러 소집된 국가안전보장회의의 분위기는 어두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막 취소했다. 공식 기록은 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결정으로 인해 단순히 '당혹스럽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한 소식통은 대통령이 원래 했던 말은 당혹스럽다를 넘어 '국가 기밀'로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에게 연극을 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일을 시작했다.

Moon quickly dispatched deputies to the White House and met Kim the next day at the demilitarized zone (DMZ) that divides the Korean Peninsula's communist and totalitarian North from its democratic South. "He persuaded the North Koreans to calm down and not to ruin the entire process," says South Korean presidential adviser Moon Chung-in. "And to President Trump he said, 'You're a great negotiator, it's a historic opportunity, don't lose it.'"
문 대통령은 곧바로 백악관에 특사단을 파견하고 다음날 김정은을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났다. 한반도를 공산주의자와 전체주의자가 있는 북쪽과 민주주의의 남쪽으로 양분하는 그 비무장 지대 말이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특보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주민들을 안심시키고 그들이 전체 과정을 망치지 않도록 설득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당신은 위대한 협상가입니다. 이건 역사적인 기회이니 놓치지마시라'고 말했다"고도 전했다.

By May 27, the Singapore summit was back on—and with it Moon's bold plans to mend divisions between the nation he governs and the one his parents fled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Seven decades have passed since the East Asian peninsula was divided. In that time, the two Koreas have come to bear little resemblance. To the south, a liberal, tech-savvy, U.S.-allied democracy; in the North, an impoverished, third-generation autocracy.
5월 27일, 싱가포르 정상회담이 재개되었고, 문 대통령은 1950-1953년 한국전쟁 때부터 그의 부모가 피난해 내려온 북쪽의 나라와 지금 자신이 이끌고 있는 나라의 분단을 치유하려는 대담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동아시아 반도가 분단된 지 70년이 흘렀다. 그 기간동안 남북한은 이제 비슷한 점은 거의 남지 않은 상태다. 남쪽은 리버럴하고, 기술에 정통하며 미국과 같은 편의 민주주의 체제이며, 북쪽은 불모한 3대에 걸친 독재정권이다.

Moon has long held ambitions to reunite the estranged nations. A veteran negotiator, he brokered the last summit between the leaders of North and South in 2007, when he was chief of staff to then South Korean President Roh Moo-hyun. Ten years on, he took office with a clear agenda.
문 대통령은 소원해진 국가를 재결합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야심을 품어 왔다. 노련한 협상가인 그는 2007년에 있었던 남북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서 협상을 중재했다. 그리고 10년 후 그는 명확한 어젠다를 가지고 집권하게 되었다.

First, "economic cooperation, then economic integration and finally full reunification," he told TIME matter-of-factly on the campaign trail in April 2017.
먼저 그는 2017년 4월 대통령 선거유세 당시 "경제협력, 경제통합, 그리고 완전한 통일"이라고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덤덤하게 말했었다.

But it was war that seemed more likely after Moon entered South Korea's presidential Blue House. The U.S. had a President threatening the Kim regime with "fire and fury like the world has never seen." There was talk of a strike to test Pyongyang's resolve. North Korea took the provocative step of testing a ballistic missile capable of devastating any U.S. city.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warned that the two were like "accelerating trains coming toward each other with neither side willing to give way."
하지만 문 대통령이 청와대에 들어간 이후에도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여전했다. 그때 미국에는 김정은 정권을 "사상 유례 없는 불과 분노에 직면할것"이라고 위협하는 대통령이 있었다. 평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습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북한은 미국의 모든 도시를 파괴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을 실험하는 도발적인 조치를 취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북미 양국은 양보할 의사가 없는 두 열차가 서로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고했다.

Moon helped apply the brakes. Over the course of 2018, the South Korean leader has pursued measured engagement with North Korea while reassuring Washington that their alliance remains strong. Within a year of Moon-led diplomacy, Trump went from fire and fury to outright affection. After his June summit with Kim, Trump would later say of himself and the young dictator that "we fell in love."
문 대통령은 브레이크를 거는데 도움을 주었다. 2018년에 있던 과정 동안, 이 남한의 지도자는 북한과의 신중한 관계를 추구하는 동시에 워싱턴 정계에는 한미 동맹이 여전히 굳건하다고 안심시켰다. 문 대통령의 외교 1년 만에 트럼프의 태도는 '불과 분노'에서 '노골적인 애정'으로 변했다. 트럼프는 6월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마친 뒤 자신과 젊은 독재자가 '사랑에 빠졌다'고 말하곤 했다.

Still, tangible progress has been slow. While Pyongyang has ceased missile and nuclear tests and returned U.S. prisoners and the remains of missing Korean War veterans, there's evidence that undeclared missile sites remain active. Negotiations with the U.S. over denuclearization remain fragile. And Moon himself has seen domestic support wane as South Korea's economy stutters.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진전은 더디다. 북한이 미사일과 핵실험을 중단하고 미군 포로들과 실종된 한국전 참전용사의 유해를 돌려보냈지만, 알려지지 않은 미사일 발사지가 여전히 활동중이라는 증거가 있다. 비핵화를 위한 미국과의 협상은 여전히 깨지기 쉽다. 그리고 문 대통령 자신의 국내 지지도가 한국의 경제 침체로 인해 약해지고 있다.

Yet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s a sense not just of a global crisis averted but also a new path ahead. Some experts say the way was cleared by North Korea completing its nuclear program. Others cite unprecedented U.N. sanctions driven, in part, by the Trump Administration. But for Ri Myoung, a senior North Korean official who defected to Seoul and uses a pseudonym for security, one man deserves the credit: "North Korea is actively engaging in denuclearization because of Moon Jae-in."
그럼에도 한반도에는 세계적인 위기를 피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나아갈 새로운 길이라는 인식이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종결함으로써 이 길이 열렸다고 말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전례 없는 유엔 제재도 있을거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탈북한 전 북한 고위관리는 (안전을 위해 리명이라는 익명을 쓴) "북한은 문재인 때문에 비핵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하며 문재인이 이 공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말한다.

Moon's big opportunity came at the beginning of 2018. Since taking office, he had made clear that he would pursue re-engagement under the right conditions. So after Kim offered in his New Year's Day speech to send a delegation to February's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Moon seized the opportunity. The two Koreas marched under a united flag and fielded a joint women's hockey team. Moon also received Kim Jong Un's influential sister, Kim Yo Jong, on three occasions during the Games.
2018년 초 문 대통령에게 절호의 기회가 왔다. 취임 후 그는 적절한 때가 오면 대화를 재개할것을 천명했다. 그래서 김 위원장이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대표단을 파견하겠다고 신년사에서 발표하자, 문 대통령은 이 기회를 잡았다. 남북한은 단일 깃발 아래 입장했고 공동 여자 하키 팀을 출전시켰다. 문 후보는 이날 3차례에 걸쳐 김정은의 여동생인 유력자 김여정을 영접했다.

Moon was careful to show the visiting delegation respect and reinforce a common sense of Korean pride. Tangerines were given to North Korea to be distributed among divided families; prized matsutake mushrooms were sent the other way. The focus on shared heritage was a shrewd first step. Many South Korean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personal than the geopolitical, especially the one-fifth of the country with extended family in the North. "It's economic, it's diplomatic. It's demographic, it's social," says David Kang, director of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s Korean Studies Institute. "Nukes are just one strand of a much larger issue for all Koreans."
문 대통령은 방문 대표단에게 존경심을 보여주고 한국인 체면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특별히 조심했다. 북한에는 귤을, 반대로 북한에서 온 귀한 송이버섯은 이산 가족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아직 남아 있는 공통의 유산(이산가족)에 초점을 맞춘 것은 현명한 첫걸음이었다. 많은 남한 사람들은 지정학적인 의미의 북한보다는 북한 인민에 더 관심을 갖고 있는데, 넓게 보면 5분의 1의 인구가 북한에 가족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경제적이고 외교적인 일이다. 그것은 인구통계학적이고 사회적인 일이다"라고 남캘리포니아대학 한국학 연구소의 데이빗 강 소장이 말했다. "핵 문제는 한국인들에게 있어 다른 더 큰 문제들 중 한 가닥일 뿐이다."

The show of unity at the Olympics sparked a backlash among South Korean conservatives, who clashed with riot police and burned North Korean flags. But sports diplomacy paid real dividends, prompting a series of meetings between North and South that led to a historic summit on April 27, where Kim became the first North Korean leader to step across the border line and visit the South. The two delegations mixed easily, clinking porcelain cups of soju, the Korean spirit.
올림픽에서의 단합은 남한 보수주의자들 사이에서 반발을 불러일으켰는데 이들은 전경들과 충돌하고 북한 국기를 불태웠다. 그러나 이 스포츠 외교는 실질적인 배당수익을 지급했다-4월 27일 역사적인 정상회담으로 이어졌고, 김정은은 국경을 넘어 남한을 방문한 최초의 북한 지도자가 되었다. 두 대표단은 한국 증류주인 소주 잔에 건배를 하며 쉽게 섞여들어갔다.

The Panmunjom Declaration that emerged from the meeting sought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and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peninsula. The two leaders were photographed chatting together on a blue footbridge in the DMZ, with neither minders nor microphones within earshot. There, Kim reportedly told Moon, "If we engage with the Americans more frequently and build trust with them, why should we have nuclear weapons and suffer from it?"
이 회담에서 나온 판문점 선언은 한국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끌어내기 위한 것이었다. 두 지도자는 비무장지대에 있는 파란색의 도보다리 위에서 목소리를 녹음할 마이크도 없이 경호원도 없이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사진을 찍었다.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에게 "미국과 더 자주 접촉하고 신뢰를 쌓는다면 우리가 핵무기를 보유함으로서 고통 받을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Asked whether he would truly engage in denuclearization talks, Kim put his integrity on the line, saying, "Do you think I am the kind of person [to break my word]?" According to the defector Ri, "For Kim to invoke his honor means he must have been sincere."
진심으로 비핵화 협상에 나설것인지 묻는 질문에 김 위원장은 "내가 (약속을 어길) 그런 사람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고 진정성을 담아 말했다. 익명을 요구했던 리명 씨에 따르면 "김정은이 그의 명예를 걸었다는건 진심임에 틀림없을것이다"라고 한다.

Moon's next task was persuading the U.S. to play along. He had already begun the process of getting into Trump's good graces in November 2017, when the new President addressed the South Korean parliament. There, Trump was introduced as "leader of the world." Moon hailed him as "already making America great again" and vaunted his skill as a dealmaker. Later he would say Trump deserved the Nobel Peace Prize.
문 대통령의 다음 과제는 미국이 함께 하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11월 한국 의회에서 연설했을 때 문 대통령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호감을 사는 작업을 시작했다. 의회에서 트럼프는 '세계의 지도자'로 소개됐다. 문 대통령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라는 (트럼프의 슬로건) 말로 칭송하며 딜메이커로서 자신의 능력을 과시했다. 나중에 그는 트럼프가 노벨 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도 말했다.

In appealing to Trump's ego, Moon was perhaps following the playbook of Japan's hawkish Prime Minister Shinzo Abe, who wooed the former reality-TV star over rounds of golf. But the South Korean leader's associates say his diplomatic style is heartfelt. "Real diplomacy comes from authenticity," Moon Chung-in says. "President Moon never tells jokes, doesn't play golf, but he's very warm and sincere, and conveys his intentions as they are."
트럼프의 자존심에 호소하는 면에서 문 대통령은 어쩌면 일본의 매파 아베 신조 총리의 각본을 따라했을지도 모른다. 왕년의 리얼리티쇼 스타(트럼프를 말함)과의 골프 라운딩에서 환심을 사려고 했던 그 방식 말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의 동료들은 그의 외교 스타일이 진심이라고 말한다.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는 "진정한 외교는 신뢰에서 나온 다"며, "문 대통령은 농담도, 골프도 하지 않지만 매우 따뜻하고 진실하며 자신의 의도를 그대로 전달한다"고 말했다.

Moon helped broker talks during the George W. Bush Administration, when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was funneled from the South to the North under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driving a wedge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This time Moon sought to do things differently. He insisted that rapprochement happen within the orbit of the U.S.–South Korea alliance and that no money change hands. "I wouldn't say we were naive before," says an official who worked both in Roh's and Moon's administrations and requested anonymity to speak about confidential deliberations. "But we have learned lessons."
문 대통령은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소위 햇볕정책 하에서 수억 달러의 돈이 남한에서 북한으로 흘러들어간 중재 회담을 도왔으며, 이는 서울과 워싱턴의 관계를 멀어지게 했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문 대통령은 일을 다르게 하려고 했다. 그는 한미동맹의 궤도 안에서 화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금전의 교환도 없다고 주장했다. 노 대통령과 문 대통령의 두 정부에서 모두 일한 익명의 관계자는 "우리가 전에는 순진했다고까지 말할건 없다. 하지만 우리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In March, Moon took a gamble by sending his diplomats to Washington with a written invitation to Trump from Kim, seeking a meeting. If the mercurial President reacted badly, then any hope of a diplomatic breakthrough would vanish. Moon saw it as vital to deliver the message undistorted in hope of breaking the escalation cycle. "The situation was so bad at the time, we were under real threat of military attack," says the same administration source. "Our entire future was at stake." The risk paid off, as Trump sent Moon's envoys out to the White House porch to tell the world he had agreed to meet North Korea's dictator.
3월,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원하는 김 위원장의 친서를 워싱턴에 전달하는 도박을 했다. 만약 그 변덕스러운 대통령이 나쁘게 반응한다면, 외교적 돌파구에 대한 모든 희망이 사라지는 상황이었다. 문 대통령은 북미간의 우호적이지 않은 분위기가 서로 주고받으며 고조되는것을 깨트리려는 바람을 가지고 김 위원장의 메시지가 왜곡되지 않고 전달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앞서 언급한 정부 관계자는 "당시 상황이 너무 나빴기 때문에 우리는 실제적 군사공격의 위협 아래 있었다. 우리 미래 전체가 위험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의 특사들과 백악관 현관에서 북한의 독재자를 만나기로 합의했다고 세계에 알림으로서 문 대통령의 도박은 성과를 거뒀다.

And so on June 12, Kim met Trump at a lavish resort in Singapore. The event was designed to convey a momentous sense of occasion, and Trump and Kim apparently forged a connection. "He's a very talented man," Trump said of Kim. "He loves his country very much."
그래서 6월 12일, 싱가포르의 호화로운 리조트에서 김정은은 트럼프를 만났다. 이 이벤트는 두 사람이 중대한 정치적 감각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준비한것이고, 트럼프와 김정은은 분명히 어떤 연결고리를 구축한것처럼 보인다. "그는 매우 재능 있는 사람이다. 그는 그의 조국을 매우 사랑한다"라고 트럼프는 김정은에 대해 말했다.

It was a startling elevation on the global stage for the last true hermit nation. Until 2018, North Korea wasn't officially speaking to anyone—not Russia, South Korea or even its old ally China. In his six years in power, Kim had never met another world leader. "They just weren't interested in talking," says Mark Lippert, who was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from 2014 to 2017.
그것은 마지막 남은 은둔국가가 세계 무대로 뛰어든 놀라운 격상이었다. 2018년까지 북한은 러시아, 한국, 심지어 오랜 동맹국인 중국을 포함하여 어떤 나라에도 공식적으로 말을 걸지 않았다. 6년간의 집권기간 동안, 김정은은 다른 나라의 지도자를 만난 적이 없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주한 미국대사였던 마크 리퍼트는 "그들은 그저 대화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Now, they can barely stop. In September, a delegation of 70 South Korean officials, religious leaders and business representatives traveled to Pyongyang. Moon and Kim had 16 hours of official talks over the two nights and three days, keeping the patter up even through meals. "The two First Ladies could hardly get a word in," says Choi Wan-kyu, a delegation member.
이제, 그들은 멈추지 않을것이다. 9월에는 70명의 남한 관리, 종교 지도자, 재계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2박 3일의 일정중에 16시간의 공식 회담을 가졌음에도 식사중에까지 열심히 대화를 했다. 대표단의 멤버인 최완규는 "두 영부인이 대화에 끼어들 틈을 거의 갖지 못했다"고 말했다.

During the talks, Kim took particular care to treat Moon as a senior figure worthy of respect. For example, smoking before an elder is taboo in Confucian Korean society. Kim, a chain-smoker, never once lit a cigarette in front of Moon, according to Moon Chung-in and several other observers. Instead, Kim was seen turning to his wife for a surreptitious smoke when Moon was otherwise engaged. "Kim Jong Un is the absolute ruler of North Korea, but in front of President Moon, he felt constrained," says Moon Chung-in. "It was a sign of deference to Moon."
김 위원장은 회담 기간 중 문 대통령을 자신보다 어른으로서 대접하기 위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예를 들자면, 한국 유교 사회에서는 어른들 앞에서 흡연하는 것이 금기시된다. 문정인 등 옆에서 관찰한 여러 사람들에 따르면 줄담배를 피우는 김정은이 문 대통령 앞에서는 담배를 단 한 번도 피우지 않았다고 한다. 대신 문 대통령이 다른 사람과 대화하고 있을때 김정은은 몰래 담배를 피우고 오기 위해 아내에게 의지하는 모습을 보였다.(아마 핑계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는 뜻이 아닐까 싶습니다)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는 "김정은은 북한의 절대 지도자이지만 문 대통령 앞에서는 자제하는 느낌이었다. 그것은 문 대통령에 대한 존경의 표시였다"고 말했다.

Yet while Moon has done more to reunite the two countries than any of his predecessors, North Korea's nuclear threat remains unresolved. The regime has reportedly snubbed meetings with U.S. Secretary of State Mike Pompeo, who warned on Nov. 20 that denuclearization was "lagging behind" blossoming inter-Korea ties.
그러나 문 대통령이 전임자들 중 어느 누구보다 두 나라를 재결합시키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위협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있다. 북한 정권은 11월 20일 '비핵화과정이 피어나는 남북 관계에 비해 뒤쳐지고 있다'고 경고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만남을 묵살했다고 한다.

There's every reason to be wary. Pyongyang reneged on denuclearization deals struck in 1992, 1994, 2005 and 2012. North Korea has refused to provide a list of its nuclear assets. And on Nov. 12,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 Washington, D.C., think tank, revealed 13 suspected secret missile facilities. The two sides have yet to agree what "denuclearization" actually means.
경계해야 할 이유가 충분히 있다. 북한은 이미 1992년, 1994년, 2005년, 2012년에 체결된 비핵화 협정을 어긴적이 있다. 북한은 핵 자산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거절했었다. 그리고 11월 12일, 워싱턴 D.C.의 한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는 13개의 비밀 미사일 시설로 의심되는 장소를 공개했다. 양측은 "비핵화"가 실제로 어디까지인지 아직 합의하지 못했다.

In the face of this, Seoul's call to weaken sanctions on North Korea has chafed some in D.C. "Moon's eagerness has caused Seoul to act like North Korea's lawyer, constantly urging Washington to make additional concessions, though it is Pyongyang which is in violation of 11 U.N. resolutions and in open defia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ays Bruce Klingner, a former chief of the CIA's Korea station who is now with the Heritage Foundation think tank.
북한에 대한 재제를 완화해달라는 이런 남한의 요청은 워싱턴 정계의 일부를 불편하게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의 열성은 한국이 북한의 변호사처럼 행동하게 되었다. 11개의 유엔 결의안을 위반하고 국제사회를 공개적으로 무시하는 것은 북한인데도 계속해서 미국에게 추가적인 양보를 하도록 촉구한다"고 전 CIA 한국 국장이었던 브루스 클링너(현 헤리티지 재단에서 일하는)는 말했다.

If patience is running out, so is time. Moon has only a single, constitutionally mandated five-year term to leverage his relationship with Kim. His domestic popularity is also suffering from the perception that inter-Korea reconciliation has taken precedence over fixing sluggish economic growth and high youth unemployment. "We're at a very delicate inflection point," Lippert says. "Moon Jae-in has broken through some paradigms and brought the three leaders further than anyone thought possible. But the hardest tests lie ahead."
인내심이 고갈되고 있는 만큼 시간도 마찬가지 일것이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최대한 활용할 시간은 헌법에 따라 단 한번 있는 5년 임기밖에 없다. 그의 지지도 역시 침체된 경제성장률과 높은 청년실업률보다 남북화해가 우선이라는 인식때문에 낮아지고 있다. "우리는 매우 미묘한 변곡점에 있습니다,"라고 리퍼트는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패러다임을 깨고 이 전 세 명의 대통령 누구보다도 남북 관계를 더 멀리 진전시켰습니다. 하지만 가장 어려운 시험은 여전히 앞에 있습니다"

Still, look at what difference a year can make. In 2017, North Korea launched at least 20 missiles and tested a sixth nuclear bomb. In 2018, test sites were destroyed and symbolic transport links reconnected across the DMZ. Kim has shaken hands with leaders of South Korea, Singapore, China and the U.S. Moon has dragged a rogue nuclear-armed dictator in from the cold. At least as of now, the world is safer for it.
그럼에도 겨우 일년동안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어 냈는지 보라. 2017년 북한은 최소 20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6번째 핵폭탄 실험을 했다. 2018년에 핵 실험장은 파괴되었고 DMZ를 건너는 교통수단이 상징적으로 다시 연결되었다. 김정은은 김씨는 남한, 싱가포르, 중국, 미국의 지도자와 악수를 했다. 문 대통령과 악랄한 핵 무장 독재자를 추위로부터 끌어냈다. 최소한 그 덕에 세계는 지금 더 안전해졌다.

- CHARLIE CAMPBELL(TIME지 동아시아 담당)

타임지 올해의 인물 문사홍님 번역판 기사 같이 읽어요 | 인스티즈

추천

이런 글은 어떠세요?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유머·감동 수능 올 4등급이면 공부 못한 건가요?.jpg160 탕탕후루루루06.15 16:3069160 1
이슈·소식 오늘 터진 아이돌 팬싸 보이콧사건163 He06.15 18:3487066 21
정보·기타 지드래곤: 제가 서바이벌프로 나가면 떨어질껄요?186 벚꽃이조아06.15 19:4572713 21
이슈·소식 B.A.P 재결합에 다시 돌아오는 듯한 마토끼NEW...jpg129 311354_return06.15 22:1249542 19
유머·감동 가족에게 초콜렛을 나눠주려니 서러워서 울음이 났다.twt176 담한별06.15 23:0747351 8
마이클 코언 미 의회 청문회 진술서 중 천러 03.04 00:17 196 0
"오바마, 박근혜에 북한 공격 동의 요청?” 세훈이를업어 02.23 19:47 291 0
최근 아프리카에서 반중정서가 퍼지는 이유11 왤케 이뻐 조 02.23 14:16 7692 4
5.18 거짓말 반박 [총정리] Q&A 김밍굴 02.20 14:46 539 1
주민소환제 실시의 의의 e)(o lucky on 02.19 02:54 226 0
진보적 의제는 의외로 헌법재판소에 달려있다 (feat.동성혼 낙태죄)1 S.COUPS. 02.12 18:42 164 0
[단독] 서울시, 2024년까지 모든 택시에 안전 격벽 설치9 하니형 02.12 05:00 4300 0
단독] xxx 정부, 미군에 현금 더 주기로 '분담금 밀약' 맺었다 풀썬이동혁 02.11 01:45 103 0
빚의 만리장성중국의 폭탄 돌리기는 언제 멈출 것인가? ''' 02.08 22:27 396 2
2020년 美 대선 달굴 '부유세'...미국민 여론은 '부자 증세' 지지 워너워너워너 02.06 15:20 161 0
시빌워 찍을 위기인 베네수엘라 근황.jpg2 Wannable(워너 01.26 12:56 1286 0
남경필 친일파 집안이라 꺼려지셨던 분들 보시긔!! (+남경필 tmi들) 제이코 01.22 00:32 460 0
메이즈러너 배우는 깡으로 뽑은 듯84 NCT 지 성 01.20 14:59 31644 4
시청자 경악케 했던 SBS 역대 '일베 이미지' 방송사고 101 똔가나지 01.16 20:32 2297 0
권영진 대구시장 잦은 해외출장 논란…재선 뒤 7개월 동안 8번 Side to Side 01.13 12:56 109 0
타임지 올해의 인물 문재인 편 1/2 (번역by문사홍) 보이프렌드 민 12.24 15:27 214 0
미국과 마찰 국가에 중국이 눈독들이는 까닭은? 하니형 12.24 13:34 581 1
타임지 올해의 인물 문사홍님 번역판 기사 같이 읽어요 노츄캡짱 12.23 07:44 194 0
중국에 배치된 러시아제 S-400의 타깃은"F-35" 캐리와 장난감 12.21 13:58 303 0
전문가가 보는 '북미협상'의 진행상황과 전망.txt NUEST-W 12.15 17:08 9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