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132에 대한 제목+내용 검색 결과
Differentll조회 2422l
이 글은 3년 전 (2020/8/25) 게시물이에요

 


- 북한의 문화재 - 



평양성(城) - 고구려 동천왕 21년(247) 봄 2월에 환도성이 난리를 겪게 되어 평양성()을 쌓고 백성과 종묘사직을 옮겼고, 고국원왕 12년(342) 2월에 환도성을 수리하고, 또 국내성을 쌓았으며, 가을 8월에 환도성으로 옮겼다. 그 후 장수왕() 15년(427)에 도읍을 평양으로 옮기고, 양원왕() 8년(552) 장안성()을 쌓았으며, 평원왕() 28년(586) 도읍을 장안성으로 옮겼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동명왕릉(陵)고구려의 건국시조로 알려진 동명왕릉에 대한 기록은 동명왕에 대한 숭배와 그에 따른 제의()와 함께 전승되어 왔다. 동명왕은 고구려를 건국하고 나서 재위한 지 19년 만에 죽었고, 고구려 수도인 졸본의 용산()에다 장사를 지냈다. 그리고 동명왕의 사당인 동명묘()도 졸본을 비롯하여 국내성과 평양성과 같은 도읍지와 요동성()과 같은 전국의 주요 거점에 세워졌다. 또한 동명왕을 시조로 하는 백제에도 동명묘가 세워졌다. 그런데 졸본에 있어야 할 동명왕의 무덤이 평양에 있다는 설이 생겨나게 되었고, 현재까지도 동명왕의 무덤은 평양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인식이 생긴 것은 부여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멸망한 후 고구려의 건국지인 졸본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상실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더구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고구려의 건국지를 평양으로 보려는 주장이 제기된 이후에는 동명왕의 무덤을 평양에서 찾으려 하였고, 동명왕을 용산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을 토대로 평양의 용산에 동명왕 무덤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래서 동명왕의 무덤이 압록강 유역의 졸본이 아니라 평양에 있다는 인식이 생겨났고, 이러한 인식은 조선의 세종대에 이르러서는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 이후로는 평양에 동명왕의 무덤이 있다는 것이 정설화 되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정릉사(定陵寺) - 고구려 427년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하면서 동명왕릉을 함께 옮기고, 동명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지은 절로, 동명왕릉 앞에 자리잡고 있다. 오래 전에 폐사되었던 것을 1974년에 발굴, 복원하였다. 발굴 당시 '고구려', '정릉', '능사'라는 글자가 새겨진 그릇조각들이 발견되어, 이 절이 고구려의 동명왕릉을 위한 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고구려 고분벽화(畵) - 벽화가 그려진 고구려 고분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90여 개에 이른다. 평양과 대동강 근처에 60여 개, 압록강 근처에 20여 개가 있다. 벽화가 있는 고구려의 무덤은 주로 돌을 쌓아 시체를 보관할 묘실(널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만드는 돌방흙무덤인데, 벽화는 주로 무덤 내부에 그려져 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보현사(寺)평안북도 향산군 향암리에 있는 절. 1042년에 창건한 후 1765년까지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절에는 주불전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만세루, 관음전, 해장원, 영산전, 명부전, 응향각 등 여러 건물들과 4각9층탑과 8각13층탑 그리고 조계문, 해탈문, 천왕문 등 여러 건축물들이 남북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지세에 맞게 배치되어 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왕건왕릉(陵)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옛 무덤. 943년에 축조되었다. 태조현릉() 또는 현릉()이라고도 불렸는데, 고려 태조 왕건의 시신이 안치된 왕릉이다. 이 왕릉에 그의 아내 신혜왕후도 합장되었다고 전한다. 고분 둘레에는 12각으로 병풍석을 돌렸으며 그 밖으로는 돌난간을 설치하였다. 이 왕릉구역은 외적의 파괴와 도굴로 인하여 원상이 많이 훼손되어 있다. 현재 무덤 앞에는 망주석 한 쌍, 상돌 한 개, 문인상 한 쌍, 돌짐승 두 쌍, 석등 한 개 그리고 정자각과 비각이 보존되어 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공민왕릉(陵) - 황해북도 개풍군 해선리에 있는 옛 무덤. 고려 31대 공민왕의 왕릉으로 1365~1374년에 축조되었다. 쌍릉형식으로 병립되어 있는데 서쪽에는 공민왕의 현릉이고, 동쪽에는 노국공주(왕비)의 정릉이다. 고분구역은 3개의 단과 맨 아래의 경사단으로 이루어졌다. 맨 윗단의 크기는 동서 약 40m, 남북 약 24m인데 그 중심에 2기의 무덤을 남향으로 나란히 안치했다. 무덤은 석조흙무덤이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고려 성균관(館) -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27호로 지정되어 있다. 992년(고려 성종 11)에 세운 국가 최고 교육기관으로, 현재의 건물은 1602~1610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원래는 고려의 별궁()인 대명궁이 있던 곳이었는데 유교 경전에 관한 사무를 보는 숭문전(殿)으로도 사용되었다가, 1089년에 국자감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선죽교(橋) - 원래 이름은 선지교()라 하였으며, 다리의 동쪽에 한석봉() 글씨의 비()가 있다. 돌기둥과 노면()이 맞닿는 부분에는 시렁돌을 철도의 침목처럼 올렸으며, 이 돌은 좌우로 거의 튀어나오지 않았다. 돌기둥 위에 마련된 노면에는 양쪽 가에 기다란 난간돌을 놓았고 그 사이를 여러 줄의 판석()으로 깔았다. 선죽교는 고려 말 정몽주()가 이성계()를 문병하고 오다가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 4, 5인의 철퇴에 맞아 피살된 곳으로 유명하다. 돌다리에는 아직도 정몽주의 혈흔이 남아 있다 한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표훈사(寺) - 금강산 1만 2천 봉에 머무르고 있다는 보살들의 우두머리 법기보살을 주존으로 모신 사찰로, 670년(신라 문무왕 10)에 신라의 승려 능인신림표훈이 처음 세우고 신림사라 하였다가 3년 후 표훈사로 이름을 고쳤다. 내금강 만폭동, 내금강 어귀에서 골짜기를 따라 약 4km 거리에 있으며, 금강산 4대 사찰(유점사, 장안사, 신계사, 표훈사)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사찰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불에 타버리거나 쇠락한 것을 1682년(숙종 8)과 1778년(정조 2) 두 차례에 걸쳐 복원하였다. 원래 20여 동의 많은 전각이 있었지만 현재 경내에는 반야보전(殿), 명부전, 영산전, 어실각(), 칠성각, 능파루() 등의 전각과 7층석탑이 남아 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함흥본궁(宮) - 이성계()가 왕이 된 뒤 자기 조상들이 살던 집터에 새로 집을 짓고, 거기에 4대조상들의 신주를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게 하던 곳이다. 그리고 왕의 자리에서 물러난 다음에는 이 건물을 본궁이라 부르며 여기에서 오랫동안 살았다. 함흥본궁과 관련하여 ‘함흥차사(使)’라는 말이 있는데, 1398년(태조 7) 권좌를 둘째 아들[]에게 물려주고 함흥본궁에 내려와 살던 이성계가 형과 동생들을 죽이고 권좌에 오른 방원[]에 대한 분풀이로 그가 보낸 사신을 모조리 죽여 버린 데서 ‘심부름을 가서 돌아오지 않거나 아무 소식이 없는 사람’을 일컫게 되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정북사(祠) - 동북 국방을 강화하는 데 공을 세운 고려시대의 윤관()과 조선시대의 김종서()를 비롯한 4명의 장군들을 제향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1437년(세종 19)에 처음으로 세워 노당()으로 불렀으나, 1845년(헌종 11)에 건물을 고쳐 세워 정북사라고 불렀으며, 1904년에 다시 세웠다. 총 9동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에 정북루()의 2층 다락채가 있고, 그 안쪽에 양현당()을 중심으로 그뒤에는 정묘(), 그 앞에는 동무()서무(西) 등이 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양화사(寺) - 양화사는 발해 때인 872년에 처음 세워졌고, 992년(고려 성종 11)과 1461년(조선 세조 6)에 고쳐 지었다. 이때 원래 주불전이었던 보광전을 대웅전으로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양화사는 서북지방에서는 묘향산의 보현사 다음 가는 큰 가람이었으며 보국사라고도 불렸다. 조선 중기와 후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성불사(成寺) - 신라 말기에 도선()이 창건하였고, 1327년(충숙왕 14)에 응진전을 지었으며, 1374년(공민왕 23)에 나옹()이 중창하였다. 나옹은 건물의 중창뿐 아니라 다수의 석물을 새로 조성하였는데, 성불사를 비롯한 산내암자에 15기의 석탑을 안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대규모의 중창 기록은 없으며, 1569년(선조 2) 설숭()이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진되었다. 1632년(인조 10)에 외적의 침입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방산에 성을 쌓은 이후부터 이 절은 해서지방의 종찰이 되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관음사(寺)황해북도 개성시 박연리 천마산 기슭 박연폭포 부근에 있는 절. 970년에 지은 관음사는 1393년에는 크게 확장 되었으며 그 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듭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646년에 고쳐지은 것이다. 원래 다섯 채의 건물로 이루어진 관음사에는 지금 대웅전과 승방, 7층탑과 관음굴이 남아있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광법사(寺) - 광법사는 372년(소수림왕 2) 고구려에 불교를 전한 전진()의 아도화상()이 창건한 절로 전해진다. 광법사의 천왕문 서쪽에는 1727년(영조 3)에 세운 광법사사적비와 1758년에 세운 중수단청비(), 시왕개소상비()가 남아 있다. 사적비에 따르면 광법사는 대성산에 있던 수십 개의 사찰 중 규모가 가장 컸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심원사(寺) - 심원사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묘향산 보현사의 말사 중 하나였다고 전한다. 박천심원사비에는 9세기 초 원감현욱국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고려 문종 때 창건됐다는 설이 소개되어 있다. 1710년에 간행된 『설암잡저』에 실린 봉린산심원사기에는 이 절의 창건연대가 정확히 알려진 바 없으나 여러 차례 중수됐다고 기록되어 있다. 심원사비문에 따르면 1718년에 심원사를 고쳐 지을 때 용마루에서 1368년에 다시 세웠다고 하는 내용이 발견됐다고 한다.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북한의 문화재 | 인스티즈






추천

이런 글은 어떠세요?

 

3년 전
1995.08.09  나의 여름, 황민현
죽기 전에 통일이 될런지.. 엄마께서 유적지나 사찰 가시는 걸 참 좋아하시는데 엄마 모시고 가고 싶네요 ㅠㅠ
3년 전
내가 죽기 전에 통일되면 좋겠다..가보고 싶다..ㅠㅠ
3년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요즘은 시험관 시술 비용도 더치페이 하는 시대.jpg162 Jeddd10:0255842 5
이슈·소식 "여학생 1년 일찍 입학시키면 출산율 높아질것"128 담한별15:1818437 0
이슈·소식 "빵집이 어디예요?" 길묻는 20대女 얼굴에 주먹질하고 기절시킨 20대男143 둔둔단세11:5843566 21
이슈·소식 '선업튀' 감독 "김혜윤 미모 최대치 올리고 싶어 모진 소리 많이 해"…이뻐져 만족..119 t0ninam12:1536833 1
이슈·소식 방금 공개된 변우석 배라픽.....111 우물밖 여고10:5740270 17
김준수-뮤뱅 관련 사건 타임라인 정리.txt243 우지 12.14 21:56 84546 36
사치세 레벨을 늘리고 싶어하는 NBA 팀들 중 천러 12.13 18:38 439 0
가장 맛있는 족발, '족발 쥐' 파동 후 공식사과…"사죄드린다" 아이오아이 김 12.13 18:07 989 0
KBO 역사상 최고의 투수 사랑을먹고자 12.06 05:39 292 0
방어율 0.51, 현시점 KBO 넘버원 투수 NC 구창모.gif ♡김태형♡ 12.06 02:35 467 1
레바논에 있는 주거용 빌딩 초코틴틴세븐 12.02 02:31 550 0
트럼프가 40억이나 써서 실시한 재검표 결과 발표 ㅎㄷㄷ djekxn 11.30 19:45 976 1
軍, 거리두기 2.5단계 격상…장병 휴가외출 12월7일까지 중지 서로가 서로에 11.27 21:19 208 0
너무나 컸던 해군사관학교 생도 훈둥이. 11.20 14:23 2136 2
[#하이라이트#] 벌써 3번째 출연! 놀토에 완벽 적응한 ♡트와이스♡ 킬포 모음zi.. 4차원삘남 11.02 07:52 282 0
8세대 콘솔별 최다 판매 타이틀 top 5 +ordin 10.18 14:54 309 0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jpg 세정언니링 10.14 14:13 309 1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jpg1 멍ㅇ멍이 소리 10.10 19:56 403 0
현장 노가다의 최대 장점2 김낑깡 10.10 07:12 2898 9
[단독] 맘스터치 '감자튀김'서 손톱 추정 이물질…소비자 피해 호소1 천재인 10.08 00:50 1569 3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jpg Wannable(워너 10.07 04:16 551 2
이집트 파라오하면 생각나는 사람은?4 세상에 잘생긴 09.21 10:10 1792 2
미국이 가장 충격을 받았던 사건 Twenty_Four 09.04 18:49 2645 4
어제 IBM 시총 제낀 2011년 창업한 만 9년차 회사 .jpg 세정언니링 09.04 17:16 865 0
북한의 문화재1 쿵쾅맨 08.30 23:31 1027 0
전체 인기글 l 안내
6/1 18:10 ~ 6/1 18:12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
유머·감동 인기글 l 안내
6/1 18:10 ~ 6/1 18:12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