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베데스다ll조회 8891l 5

https://blog.naver.com/ranto28/223429093463

네이버 라인 - 일본 정부 분쟁 사태 정리.TXT | 인스티즈

일본 라인 사태 근황(feat 네이버 vs 소프트뱅크, 손정의, 야후)

댓글에서 일본 라인 사태에 대해 정리 요청이 있어서, 퀵하게 정리해 봅니다. https://biz.chosun.com/it-s...

blog.naver.com



 

 

1. 한국의 카톡과 같은 메신저 라인은 1억 2200만 명의 일본 인구 중 9600만 명이 사용하고 있는 압도적 1 위 메신저임.

 

2. 네이버의 라인은 모바일 메신저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 기업이고, 검색엔진에서는 소프트뱅크의 야후 가 1위를 차지하고 있음. 

 

3. 일본은 현금의 나라임.

 

4. 카드등을 거의 쓰지않아서, 거래에서 현금을 사용하는 비중이 80%를 넘어가고 있음.

 

5. 일본정부는 2026년까지 현금결제 비중을 60%밑으로 내리는 것이 목표임.

 

6. 일본 정부가 밀고, 페이의 편리성이 어필되며 한국의 네이버페이 같은 페이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 함. 

 

7. 각자 영역에서 압도적 1위였던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일본 페이 시장에서 맞붙게 됨. 

 

8. 라인페이와 페이페이가 일본 페이 시장 1위인 라쿠텐 페이를 제치기 위한 경쟁을 시작한 것임.

 

9. 소프트뱅크의 페이페이는 시장점유율 1위 달성을 위해 엄청난 현금살포 마케팅을 시작함.

 

10. '100억 엔 줘버리자 캠페인(100億円あげちゃうキャンペーン)'이 그것임.

 

11. 소프트뱅크는 페이페이를 통해 결제한 금액 중 20%를 포인트로 환원해 주는 캠페인을 100억엔 한도로 진행한 것임. 

 

12. 페이페이 대란이라고 불린 이 캠페인은 일본에서 큰 화제를 모으게 됨. 

 

13. 캠페인 오픈당일 페이페이 앱을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 판매점에 오픈런이 발생했고, 10일만에 100억 엔이 모두 소진됨. 

 

14. 페이페이가 이런 마케팅을 2탄, 3탄 연속해서 펼치자 이용자가 빠르게 늘기 시작함. 

 

15. 소프트뱅크는 자회사인 페이페이에 460억 엔의 실탄을 지원했고, 그 돈으로 강력한 현금살포 마케팅에 나서게 된 것임. 

 

16. 페이페이의 현금살포 마케팅이 성공하자, 라인페이도 반격에 나섬. 

 

17. 페이페이가 100억 엔이 한도였다면, 라인은 300억 엔을 쏘겠다고 나옴. 

 

18. 라인은 '축! 레이와(일본의 새 연호) 모두에게 줄게. 300억 엔 축제'라는 캠페인을 시작함.  

 

19. 라인 페이를 사용하면 1인당 1000엔 상당의 라인페이 포인트를 공짜로 나눠주는 캠페인으로 300억 엔 한도로 진행된 것임. 

 

20. 원래 이런 캠페인은 먼저 하는 쪽이 성과를 많이 가져가는 법임. 

 

21. 시장점유율 3위였던 페이페이는 라쿠텐 페이와 오리가미를 제치고 이용자 수 1위를 기록하게 됨. 

 

22. 라인 페이는 4위에서 2위로 올라서게 됨. 23. 페이페이와 라인페이가 1,2위를 달성했지만, 점유율 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너무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었음

 

24.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불필요한 경쟁을 줄이고, 각자 가진 강점을 살려보자는 취지로 라인과 야후를 합 치게 됨.

 

25. 일본의 모바일 메신저 1위인 네이버의 라인과 소프트뱅크의 야후가 합쳐서 라인 야후가 만들어지게 됨. 

 

26. 네이버의 라인과 소프트뱅크의 야후가 50 대 50의 비율로 지배권을 가지게 된 이유임.

 

네이버 라인 - 일본 정부 분쟁 사태 정리.TXT | 인스티즈

 

27. 합병 구조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A 홀딩스를 50 대 50 지분으로 만든 후, A 홀딩스가 라인 야후의 지 분 65%를 가지는 구조가 됨.

 

28. 다만, A 홀딩스 지분을 반반씩 나누되, 경영권은 소프트뱅크가 가져감. 

 

29. A 홀딩스 이사회 의장을 소프트뱅크가 맡고, 5명의 이사회 중 3명을 소프트뱅크에서 지명하게 되어 있 어 실질적인 경영권이 넘어

간 것임. 

 

30. 주식회사에서 이사회 의장을 맡고, 이사 과반을 차지하고 있으면, 실질적인 지배를 하고 있다고 봐야 함.

 

31. 일본에서 영업을 하는 만큼 일본 기업인 소프트뱅크를 앞세워 국적 논란을 줄여보자는 의미가 있었던 것 임.

 

32. 경영권은 소프트뱅크가 가지고 있지만, 네이버는 개발을 책임지는 식으로 업무가 나눠짐. 

 

33. 소프트뱅크도 사실 일본인 시각에서 국적이 애매한 기업임.

 

34. 손정의는 아버지가 대구에서 태어났고, 본인도 1990년까지 한국 국적을 유지하다 일본으로 귀화를 한 인물임. 

 

35. 귀화한 한국계 일본인에 대해서, 100% 일본인으로 보지 않는 시각이 일본 내부에 있기는 함.

 

36. 그리고, 실질적으로 소프트뱅크가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지만, 51 대 49가 아닌, 50 대 50의 동업은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은 구조임.

 

37. 2023년 11월, 라인 야후에 고객 정보 유출 사건이 터지자, 소프트뱅크가 움직이기 시작함. 

 

38. 라인 야후의 확실한 지분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움직임이 일어난 것임.

 

39. 물론 지금도 지분구조가 형식적으로는 50 대 50이 아님. 

 

40. 소프트뱅크는 50% 지분을 가지고 있지만, 네이버가 42.25%, 제이허브가 7.75%를 보유하고 있음. 

 

41. 형식적으로는 소프트뱅크가 1대 주주가 되고, 실질적으로는 제이허브가 네이버의 100% 자회사라 5 대 5가 되는 것임.

 

42. 네이버가 2대주주가 되면, 재무제표에서 A 홀딩스가 관계회사로 분류되면서, 라인의 실적이 네이버 연결재무제표에서 빠지게 됨. 

 

43. 2023년 말, 한국 네이버 클라우드의 액티브 디랙토리 서버가 해킹을 당함

 

 44. 해킹으로 네이버의 사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던 일본 라인의 사용자 정보 50여만 건이 유출된 것임. 

 

45. 유출된 정보는 이용자의 연령, 성별, 라인 스탬프 구입 이력정보 등으로 알려지고 있음.

 

46. 해킹으로 인한 정보유출에 2024년 3월, 일본 총무성은 행정조치 명령을 내리게 됨. 

 

47. 라인 야후와 네이버의 시스템을 완전히 분리하고, 네이버가 라인 야후에 대한 영향력을 축소해야 한다는 행정조치임.

 

48. 일본 총무성의 논리는 이럼.

 

- 라인 야후가 고객 정보관리를 위탁하는 곳이 네이버이고, 라인 야후는 위탁업체인 네이버를 관리 감독해야 한다.

- 라인 야후가 관리 감독을 해야 하는 네이버가 조직적, 자본적으로 상당한 지배관계가 있다.

- 라인 야후가 네이버에 안전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조치를 요구하거나, 위탁업체로 관리하기 어려운 구조를 바꿔야 한다. 

 

49. 소프트뱅크와 네이버는 제이허브 지분 7.75%를 넘기는 협상을 하고 있는 것 같음. 

 

50. 네이버가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제이허브가 소프트뱅크로 넘어가면 소프트뱅크의 지분은 57.75% 로 실질적인 1대 주주가 됨. 

 

51. 소프트뱅크는 현재 힘든 상황임. 

 

52. 위워크와 우버 투자 실패로 2조 엔에 가까운 손실을 내고 있고, 전체적으로 봐도 투자 성적이 몇 년째 부진함.

 

53.실탄은 많고, 투자실적이 별로 좋지않은 상태라, 라인을 다소 무리하더라도 가지고 오려는 시도를 할 수 있어보임.

 

 

한 줄 코멘트. 정보 유출에 대책 수립과 벌금 등은 일반적이지만, 일본 당국이 지분까지 거론하는 것은 무리한 창구지도로 보임.

다만, 이사회 구성 등을 보면 실질적인 라인의 경영권은 이미 소프트뱅크에 넘어간 상태임

 

 

추천  5


 
아오 ....
1개월 전
그럼 어쩔수없네 잘가소
1개월 전
에휴
1개월 전
국내기업에 투자요청했지만 당시 한국에서 대기업 독점 기업독점등의 사유로 결국 소프트뱅크의 투자를 받아 이런일이 생겼죠..
1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9년 키운 강아지 피부 안 좋다고 안락사 요청156 311869_return06.21 13:0680497 34
유머·감동 트랜스젠더가 아이돌 데뷔하는 거 어떻게 생각해?.jpg112 폭염주의보06.21 17:0762375 1
이슈·소식 [속보] 尹대통령 "첫 3개월 육아휴직 급여 월250만원으로 대폭 인상"105 사정있는남자06.21 11:0273038 3
유머·감동 약사가 갑자기 이상한거 그려줌93 널 사랑해 영06.21 14:0681991 1
정보·기타 남편이 비싼 모니터 샀나 확인하는법115 언행일치06.21 17:3958508 7
한국인들 큰일남20 307869_return 06.07 15:11 11130 0
그럼 20년동안 (밀양)피해자를 위해 무얼 하셨습니까?.x11 311329_return 06.07 15:07 9730 5
교수님 잘 들으세요. 전요...2 NCT 지 성 06.07 15:07 2975 0
사놓고 방 어딘가에 쳐박혀있는 요가링 꺼내세요23 마카롱꿀떡 06.07 15:06 18622 6
고전 파일복사1 호롤로롤롤 06.07 15:05 1716 0
두개의 강이 만나는 지점1 WD40 06.07 15:03 3125 1
마라엽떡 대참사..jpg13 311344_return 06.07 15:03 11676 0
19세기 서양사람들이 한국에서 보았던 것.twt1 Twenty_Four 06.07 15:03 8245 5
양념치킨과 치킨무를 만든 치킨대부.JPG3 308624_return 06.07 15:03 3141 1
술담배를 하지 않는 분들에게 여쭈어봅니다.556 우우아아 06.07 14:54 121551 1
개인전·제베원 성한빈·마라맛…'아이랜드2' 파트2, 완전히 달라진다 언니+야들 06.07 14:49 1629 3
민주당 "영일만 시추 비용 5000억원 아닌 1조2000억원” 새로운 의혹 제기1 밍싱밍 06.07 14:49 950 1
생일기념 직접 생일카페 + 포토이즘 이벤트 준비한 이진혁 퇴근무새 06.07 14:47 991 0
노견강쥐 쉬싸고 알아서 패드 접고 개고555 마카롱꿀떡 06.07 14:46 95198
요새 청량 2연타로 노래 잘 뽑은거 같은 아이돌1 @+길레온 06.07 14:41 2933 1
새끼 돌고래의 잇단 죽음…제주 남방큰돌고래가 위험하다 담한별 06.07 14:36 1073 0
땅 1,500평 사서 혼자 집 짓고 살던 35살 여자, 20년 뒤 근황1 위례신다도시 06.07 14:36 5596 6
써브웨이 빵 종류 중 가장 호불호 심한 '플랫 브래드'45 헤에에이~ 06.07 14:24 21699 1
비 오는 날 누워서 비 맞는 기분 체험하기 gif11 킹s맨 06.07 14:10 9598 8
2년 7개월만에 신곡내는 위키미키 티저1 308679_return 06.07 14:06 2832 0
전체 인기글 l 안내
6/22 4:40 ~ 6/22 4:42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