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이등병의설움ll조회 2511l 2

 

 

[정유정인터뷰] 개인은 자존감 중독, 사회는 집단 나르시즘... | 인스티즈



‘개인은 자존감 중독, 사회는 집단 나르시시즘….’ 소설 ‘완전한 행복’에서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주변을 파멸로 몰고 가는 인물을 그렸던 정유정 작가는 우리 시대의 가장 위험한 징후로 비뚤어진 방식의 ‘행복 강박’을 꼽았다. 개인에게 그것은 무조건 높은 자존감, 항상 충만해야 하는 자기애로 드러나고, 사회적으론 ‘나는 되고 너는 안 된다’ 식으로 편을 가르는 집단적 ‘내로남불’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내가 가장 ‘소중’하기에 빠른 ‘손절’(관계 끊기)이 일상이 된 나르시시즘의 시대. 마음을 지키기 위해, 균형을 잡기 위해 한국인은 무엇을 재설정해야 할까. 서울 마포구의 한 스튜디오에서 최근 정 작가를 만났다. 실체 없는 ‘행복’을 논하기 전에, 불완전한 ‘나’를 끌어안고, 진짜 나를 사랑하는 법을 찾기 위해.




#행복 강요하는 사회, 우리는 모두 자존감에 중독됐다

나르시시스트의 범죄를 그린 근작의 제목이 ‘완전한 행복’이다. 자기애와 행복은 어떤 관련이 있나. 책을 쓰게 된 동기가 궁금하다.

“SNS를 봐도 그렇고, 요즘 너무 이상하지 않나. 온통 ‘행복’을 이야기한다. 거의 강박 수준이다. 행복해야 하고, 자존감이 높아야 하고, 자기애가 충만해야만 하고…. 그게 맞는 걸까. 행복의 가치를 다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행복을 다시 설정한다는 의미는.

“행복은 실체가 없고, 순간의 경험일 뿐이다. 사실 인류는 행복하도록 진화된 게 아니라 생존하도록 진화됐다. 먹고 사는 것에 매달린다는 뜻이 아니라 자기 삶을 충실히 산다는 뜻에서의 ‘생존’이다. 인생을 성실히 수행할 때 자존감이 생기고, 그 과정에서 행복이란 순간이 잠시 찾아온다. 그러니까 절대 행복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고, 돼서도 안 된다.”

 

행복에 대한 강박이 나르시시즘을 불러오고 있다는 것인가.

“그렇다. 나르시시즘은 비뚤어진 방식으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뭘 해야 행복할까에 골몰하니 집착과 강박도 생기고…. 사회 전반에 이런 분위기가 감지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다.”

나를 사랑하는 게 나쁘다? 자존감과 자기애는 높을수록 좋을 것 같은데.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자기애와 자존감은 가짜다. 행복을 강요하는 분위기에 휩쓸려 다들 자기애, 자존감 높이기에 중독된 것 같다. ‘난 소중해’ ‘난 완벽해’ ‘난 세상의 중심이야’라며….”





#‘내로남불’ ‘손절’… 한국은 지금 ‘집단 나르시시즘’

사회 전반에서 나르시시즘을 느낀다고 했는데, 집단적으로도 그러한가.

“나르시시즘이 ‘다이내믹 코리아’와 만나 독특한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요즘 우리는 지나치게 분명한 것만 선호한다. 흑과 백 사이를 보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회색 지대에 있는 사람을 용인하지 못한다. ‘내 편 아니면 적’으로 간주하는 성향이 강하고, 자기가 속한 집단에 대해 지나치게 확신한다. ‘내로남불’. 그게 바로 집단 나르시시즘이다.”

한국사회의 집단 나르시시즘에서 특히 우려되는 건 무엇인가.

“자기애적 현상은 전 세계에서 감지되지만 우리 사회에서 특히 관찰되는 건 세대 간, 남녀 간, 계층 간 갈등이다. 나와 똑같지 않다고, 반대에 서는 것은 아니다. 토론과 대화를 통해 조금쯤은 같이 묶일 수 있는 방향을 찾아야 하는데, 우린 사람을 자꾸 발라낸다. 대화하면 할수록 갈등이 더 생긴다. 저것이 다르고, 이것이 다르다는 식으로 자꾸 나누니까. ‘완전한 행복’에서 ‘유나’가 ‘행복은 뺄셈’이라 말한, 바로 그것 아닌가.”

소설처럼 행복을 위해 불행의 요소를 제거하는 ‘뺄셈’은 요즘 인간관계를 ‘손절’한다는 표현과 비슷한 것 같다.

“‘손절’이 빠른 세태가 정말 우려된다. 누구랑 말하고 관계 맺기 싫고, 자기 세계 안에 갇혀 갈등 해결의 어떤 실마리도 찾을 수 없다. 전부 ‘섬’처럼 살게 될 것 같다. 손절은 최후의 방식이어야 한다. 조금 불편하다고 사람을 ‘끊는 것’은 거미줄 치우는 데 전기톱을 쓰는 꼴이다. 결국 그게 인생을 허무하게 만들고, 자신을 사회에서 고립시킬 것이다.”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나.

“변화는 빠른데, 훈련이 부족한 탓일 수도…. 대화하는 법을 모른다. 여전히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 사회라는 게 안타깝다. 교육에도 책임이 있다. 어려서부터 ‘너는 특별하다’고 말하며 아이들을 키우는데, 이런 게 꾸준히 마음에 쌓이면 어느 순간 ‘나는 세상의 중심이야’라고, 심해지면 ‘내게 중심을 향하지 않는 건 모두 나빠’라는 인식도 생길 것 같다는 극단적인 생각도 든다.”







#자존감 낮추고 결핍·불운도 인정하라

한국인들의 자존감 중독을 우려했는데, 작가라는 직업도 자존감이 높을 것 같은데.

“작가를 이끄는 건 자존감이 아니라, 글을 쓰겠다는, 이야기를 반드시 완성하겠다는 욕망이다. ‘종의 기원’을 쓸 때 사이코패스 청년을 그려내야 했는데, 그게 생각대로 잘 안 돼서 안달복달했다. 내겐 그 욕망이 있어서 2년이고 3년이고 글을 쓸 수 있다. 이 욕망이 극단으로 치달으면 어떻게 될지 소설로 한번 써보고 싶다. ‘완전한 행복’으로 시작한 ‘욕망 3부작’의 마지막 편이 될 것 같다. 아, 이거 오늘 처음 말하는 거다(웃음).”

자존감과 자기애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일은 어려운 것 같다.

“진정한 자기애는 내가 불완전하다는 걸 인정해야 생긴다. 결점, 단점, 흑역사도 나라는 걸 받아들여야 생긴다. 자존감은 성취가 있어야 한다. 남들은 비웃어도 내가 원하는 것을 위해 한 발 한 발, 성실히 살고 있다는 작은 성취감이다. 인간은 완성형이 아니라, 완성해 나가는 존재고 자기애와 자존감은 그런 ‘과정’에서 생겨나는 거다.”

요즘 자기계발서들은 대부분 자존감을 키우라고 말한다.

“성실히 삶을 꾸리지 않고, 가만히 있어도 괜찮다고 하는 이야기를 듣고, 자존감을 높이려고 하면 비뚤어진 자기애가 된다. 그 전제가 자존감이 높아야 좋고, 낮으면 안 좋다는 것인데, 그건 참 이상한 일이고, 그런 사회는 불편하다.”

그런데 자존감이 낮으면, 좀 의기소침해지지 않을까.

“자신만만하고 눈치 안 보고 누가 비난해도 상처 안 받는 것. 그게 자존감이 높은 거라면 나는 정반대다. 상처 잘 받고, 결핍과 불운도 많다. 낮으면 낮은 대로 장점이 있으니까 시무룩할 이유는 없다. 자존감 낮은 이들 중에 섬세하고 감수성 풍부한 이들이 많다.”

베스트셀러 작가다. 결핍이나 불운은 없어 보이는데.

“잘 알려졌다시피 신춘문예 11번 떨어지고, 12번째 당선됐다. 늘 패배감과 결핍에 시달렸고 지금도 재능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글이 한 방에 나오는 적 없고 안달복달하면서 겨우 쓴다. ‘아, 나는 세상을 겨우 사는 사람 같아’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런 마음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한탄하면 되게 불행해지는데, 그래도 ‘이렇게라도 얻어지는 게 어디야’라고 생각하니 괜찮더라. 애면글면하면 얻어진다는 자신감도 무의식중에 생긴다. 이런 경험으로 극복해 나간다. 글을 쓰는 게 좋으니까. 자기가 좋아하는 부분에 쏟아 넣는 에너지를 통해 자신의 결핍과 불운을 끌어안을 수 있지 않을까.”

 

 

 

추천  2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유머·감동 32살인데 비행기 타본적 없대.jpg234 담한별06.23 12:5586568 1
할인·특가 목욕탕비는 공짜입니다 대신218 218023_return06.23 22:2848154 1
정보·기타 전세 관련 핫플간 유투버 달씨 사과문234 더보이즈 상06.23 13:11108752 2
유머·감동 제가 놀라는 모습이 짜증난다는 남편168 311328_return06.23 19:0665717 0
유머·감동 아이스크림 이런것만 먹는 애들 있음...JPG145 한 편의 너06.23 15:1973630 9
F1 에밀리아-로마냐 GP 최종결과1 311329_return 05.21 01:57 762 0
다이소에 강아지 옷 사러 온 아저씨3 Side to Side 05.21 01:56 6392 1
이제보니 황당한 1박2일이 정준영을 포장한 방식4 판콜에이 05.21 01:55 8217 1
성인될때까지 새 폰 사기는 그른듯한 조카2 ♡김태형♡ 05.21 01:50 6173 0
요즘 중국인들이 게임에서 쓴다는 한국 욕...jpg1 218023_return 05.21 01:35 3932 0
enfp의 90%는 노력형이라고 말하는 문상훈3 한 편의 너 05.21 01:35 5345 2
10년 전 천우희가 연기한 역할7 배진영(a.k.a발 05.21 01:23 11876 1
세면대에 똥쌌는데 어떡해??도와줘ㅠ ㅠ160 편의점 붕어 05.21 01:21 84187 2
매우 신기한 과학현상 '양자얽힘' 성종타임 05.21 01:19 1606 1
뜨는 것마다 은은한 광기가 돋보이는 윤아 새 영화 사진들.jpg3 950107 05.21 01:19 4897 1
동양인은 벌크업을 하면 안된다는 의견.jpg6 NUEST-W 05.21 01:18 11663 5
이거 사회적 지능 테스트라는데 해볼사람!1 311341_return 05.21 01:18 2006 0
"일본에서 데뷔해서 다행"이라는 일본남돌 엔팀 케이1 우물밖 여고 05.21 01:16 1983 0
한,중,일 택시 손님 구별법1 박뚱시 05.21 01:10 2133 0
교실 청소하다가 발굴한 78년도 우유7 태 리 05.21 01:08 14428 6
난 친구없이 사는걸 추천함.jpg23 Twenty_Four 05.21 01:04 15759 3
눈치보는척 일 방해하는 강아지1 키토제닉 05.21 01:04 1911 1
[하이라이트] 역시 섭외력도 최강! 시즌3 첫 직관을 빛내준 애국가 제창 '거미' .. 4차원삘남 05.21 00:55 183 0
아이브 안유진 고정 예능 캐스팅 비하인드들.jpgif5 311095_return 05.21 00:54 3836 3
강아지 산타 후드 예쁜데 어디서 사셨나요ㅠㅠㅠ.jpg2 태래래래 05.21 00:52 39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