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관계 후 증상 없었는데…한국도 '폭증' 무슨 병이길래? [건강!톡]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사회 - 뉴스 :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지난해 국내 매독(Syphilis) 환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독 신고 체계 가동 이후 가장 많은 감염 수치다. 최근
news.nate.com
美日 이어 국내 감염자 '역대 최대'
매독 환자 급증…각종 합병증 우려

지난해 국내 매독(Syphilis) 환자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독 신고 체계 가동 이후 가장 많은 감염 수치다. 최근 미국·일본 등 해외에서의 매독 환자 증가세와도 연관성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통계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연간 매독 환자는 2786명이었다. 10년 전(2014년 1015명)에 비해 3배 가까이 뛰었다. 해외에서 감염된 환자도 93명(3.3%) 나왔다. 미국은 매독 감염 건수가 2022년 기준 20만건을 웃돌아 1950년 이후 최다였고, 같은해 일본에서도 1만3000명 이상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다.
기존 수치와 단순 비교하긴 어렵다. 질병관리청은 “2024년 매독 신고 건수 증가는 표본감시 체계에서 전수감시 체계로 변경돼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신고 항목도 늘어나 기존에는 표본감시 기관에서 1~2기와 선천성 매독을 주1회 신고하던 게 모든 의료기관에서 1~3기 및 조기 잠복, 선천성 매독을 진단 후 24시간 이내 신고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를 감안해도 최근 매독 감염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전염성이 강한 대표적 성병인 매독은 감염 1기에서 보이는 피부 궤양의 형태가 매화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흔히 매독균이라 부르는 ‘트레포네마 팔리덤’(학명) 병원균 감염으로 발생한다.
매독 1기는 균이 침범한 부위에 발생하는 통증 없는 궤양이 특징. 성기 부위, 질, 항문, 직장 등에 주로 생긴다.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한다. 2기로 넘어가면 가려움 없는 피부 발진이나 발열·인후통·피로·두통, 근육통 등이 나타난다. 3기는 장기와 중추신경계, 눈, 심장, 간, 뼈 등을 침범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감염 후 장기간 잠복해 수십년이 지나 3기 매독으로 발현되는 케이스도 있다.
이하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