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우녕 전체글ll조회 1026l

지난번에 씉 글에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과고 출신도 아닌데요 평범한 일반고 진학해서 수학때문에 1,2학년 때 고생 많이 했거든요. 같은 고민 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 같아서 글을 써요. 일단 제 수학성적은 고1때 6-80점 사이로 기복이 심했고 2학년때부터는 안정적으로 1등급 진입했고, 3학년때는 모의고사 기준으로 시험 쳐서 틀린 적이 별로 없던 것 같아요. 수능 공부만 해서 이 글도 그냥 제 경험담 정도가 될 것 같아요.


우선 수학은 기본적인 개념 이해가 중요하고 그 다음에는 문제 풀어보면서 더 이해하고 외우는 게 중요해요. 사실 수학은 암기과목이라... 기출의 모든 유형을 다 분석할 수 있고, 외우고 있으면 평가원 만점은 크게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과외하는 학생들도 그렇고, 수학을 어려워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문제도 풀고 열심히 하는 것 같은데 막상 개념을 알고있는지 물어보면 대답을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원의 정의가 뭐야? 포물선의 정의가 뭐야? 하고 물으면 y =4px 이런 식으로 대답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수학은 정의에서부터 출발해요. 정의를 바탕으로 정리들이 생기고, 보조정리들이 생겨서 우리는 정의와 정리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어요.

대부분의 문제는 정의를 명확하게 알고, 그 정의로부터 유도되는 성질과 정리를 알고있으며 문제 풀이에 그걸 적절하게 적용시키면 풀리죠. 그러기 위해서는 정의를 명확하게 알아야하고, 성질과 정리도 알아야해요. 그리고 나서 적용시키는 방법, 문제 분석하는 방법을 알면 됩니다. 우선 앞의 2개를 위해서는 교과서를 열심히 읽었던 것 같아요. 시중에 많은 문제집하고 개념서가 있는데 물론 공부에 도움이 되겠지만 교과서 설명도 쉽고 정말 잘 적혀있어서 어려운 내용도 여러번 읽으면 이해가 된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물론 저 때 아는구나 하고 넘어가면 곤란해집니다. 교과서를 읽고, 예제 풀면서 대충 이런거구나 하고 감도 잡아보고, 정리같은 경우는 직접 증명해보기도 했어요. 물론 될 때도 있고 안될 때도 있지만 그렇게 한 번 고민하고 나면 확실히 알게 되는 느낌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수학익힘책 잘 활용하세요. 다른 출판사는 모르겠는데 제가 다니던 고등학교는 미래엔껄 썼어요. 문제 질이 좋아서 n번 풀었어요. 처음에는 교과서랑 보면서 풀고, 그 다음에 또 풀고, 또 풀고, 익힘책은 정말 너덜너덜해질때까지 풀었어요.

시중에 나온 문제집들 보면 대부분이 평가원 문항 변형인 경우가 많은데 저는 문제집은 ㅆ 하나만 풀었던 것 같아요. c단계는 계산 더러운 문제가 많아서 풀고싶은것만 풀고, b단계도 한 3번쯤은 반복해서 풀었어요. 틀린것만 다시 푸는게 아니라 그냥 문제집 전체를 다시 풀어요. 틀린 문제는 그 날 다시풀고, 그 다음날 또 다시 풀어요. 그리고 주말에 틀린 문제만 모아서 한번 더 풀었어요.

고등학교 2학년때부터 기출을 돌리기 시작한 것 같은데, 문제를 보면 아 이거 어느 단원에서 내는거구나. 이건 여기랑 여기 개념 섞은거구나 하는 식으로 나름대로 문제를 분석해요. 그리고 풀고, 풀고 나서는 같은 개념 사용해서 다른 문제를 만들어볼 때도 있었던 것 같아요. 실제로 만든 문제랑 비슷한 유형이 모의고사에 나온 적도 있었고, 문제를 분석하고, 또 만들어보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분석하는 눈이 생긴 것 같았어요. 그렇게 기출을 n번 돌리면 이제 모의고사 문제는 죄다 내가 풀어본 유형이 나와요. 개념도 알고있고 접근법도 알고있으면 계산실수만 안하면 대강 풀려요. 그런식으로 계속 공부했던 것 같아요. 


과학은.. 얘도(특히 지금은 물리 역학부분?)이 수학이랑 비슷한게 개념 이해 바탕으로 문제풀이를 많이 해야 비로소 자기 공부한 것으로 체득이 되는 과목들이라 개념 확실히 외우고, 기출 풀고 했던 것 같아요. 물리 하는 친구들, 기출 부족하죠? 개정 전 기출문제 많은데 그거 풀어보세요. 개정 전 기출 풀다가 요즘 과정 풀면 역학파트는 진짜 쉽다는게 느껴져요. 문제풀이는 기출이랑 ebs로 했고, 다른 건 딱히 안했어요. 개념 정리할 때 쓴 방법은 애들한테 설명해주거나, 아니면 백지에 소단원명 하나 적어두고 관련 내용, 개념, 생각나는 문제 등등 죄다 적은 다음에 책 펴고 비교하면서 부족한 거 채워넣은 정도?


쓰고 보니 읽을 만한 글은 아닌 것 같은데 그래도 고치기 귀찮아서 그냥 올립니다.ㅠㅠ

설정된 작가 이미지가 없습니다

이런 글은 어떠세요?

 
비회원도 댓글을 달 수 있어요 (You can write a comment)

비회원22.94
으와
9년 전
독자1
우와... 진짜 노력이 돋보이는 공부법...ㅇ.... 진짜 대단해요!!!
9년 전
독자2
고마워!
9년 전
독자3
문과 수학기출문제집추천해줄수있어?ㅜ
9년 전
독자4
진짜감사해요ㅜㅠㅜㅜㅠ
9년 전
독자5
우와...대단해.... 진짜고마워ㅜㅜ 나도 노력해봐야겠어..
8년 전
독자6
정의≠공식 이란건가요?
8년 전
독자7
저두 한 번 도전해볼게요!!
8년 전
비회원205.131
혹시 과학 개념서 추천해줄수있을까요ㅠㅠ
그리고 수학은 교과서랑 개념원리만으로도 개념충분히잡을수있겠죠?

8년 전
비회원도 댓글을 달 수 있어요 (You can write a comment)
 
분류
  1 / 3   키보드
날짜조회
         
         
         
         
         
공부법 ​토익졸업기념 공부방법 공유!2 잡담왕 01.21 14:12 2585 5
공부법 토익 990 만든 비법 다 털어놓고 갈께 +시간관리42 990 08.21 17:17 10179
공부법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18학번입니다6 고대공대18 03.18 20:35 1318 2
공부법 대학 붙은 후기5 기계공가고싶.. 03.18 20:27 959 0
공부법 공부 상담 30 냥냥냥냥냥냥.. 12.25 19:10 1078 0
공부법 내가 느낀 국어 연계 체감율! 87 자연법주의 11.01 18:55 1575 0
공부법 국제학교 10년 다닌 익인이야!5 10.06 13:54 1148 0
공부법 토론대회 상 받는 팁. 무조건임! 08.17 23:22 760 1
공부법 질문받습니다 + 수포자에서 수학 1등급 된 후기(끌올)8 수학공부법 08.17 23:01 3677 30
공부법 재업) PPT팁!2 발표왕 07.28 21:44 1058 1
공부법 수포자에서 수학 1등급 된 후기 +) 수학 선행 관련 팁61 수학공부법 06.24 20:46 6301
공부법 물리 덕후의 만년 3->1로 올린 후기21 물리덕후 06.24 09:33 1696 5
공부법 한 아이돌 더쿠의 수능 전부터 당일 시험 끝까지 모고 성적이랑 비교 화장실 등 수능 후기.. 06.20 22:23 930 0
공부법 중딩때 망하다가 고1 내신부터 영어 최상위권 간 공부법 51 06.20 22:21 1423 0
공부법 쓰니의 공부습관 사소한 팁들♪17 담이 06.11 18:50 2938 1
공부법 간호사의 학과때 별거없는 공부법? 3 나이팅게일 04.25 23:22 1688 0
공부법 [학점은행제이용하기] 학점은행제로 편입 조건 맞추기 (일반편입) 학점은행제 담.. 04.18 18:48 945 1
공부법 [학점은행제2탄] 학점인정 신청방법 학점은행제 담.. 04.18 15:18 452 0
공부법 [학점은행제1탄] 학습자등록 방법 학점은행제 담.. 04.18 14:51 574 0
공부법 예비고3or고3 문제집 인강 현실조언 1탄ㅡ국어1 03.06 01:19 933 1
전체 인기글 l 안내
6/8 10:22 ~ 6/8 10:24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
공부법 인기글 l 안내
1/1 8:58 ~ 1/1 9:00 기준
1 ~ 1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