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유 비활동기 멜론 스트리밍 저작권료 수익 추정
멜론차트2020년11월27일 기준(가장 최근 음원 발매로부터161일 후)
1.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음원 전송사용료
![[정리충] 아이유가 비활동기일 때의 음원 스트리밍 수익을 추정해보자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cached_img/upload/2020/11/29/23/c71c203b54cc15aa38f8439161103bc0.jpg)
2020년 기준으로 곡당 단가는 대략7원이다.여기서 사업자(멜론)가35% (2.45원)를 가져가고 권리자는65% (4.55원)을 가져간다.권리자는 저작권자,실연자,제작사를 의미한다.저작권자는 저작권협회를 통해,실연자는 실연자연합회를 통해,제작사는 유통사를 통해 저작권료를 받는다.저작권협회는10% (0.7원)을 징수하고 수수료9%를 떼가기 때문에 저작권자는0.637원을 받는다.실연자연합회는6% (0.42원)을 징수하고 수수료20%를 떼가기 때문에 실연자는0.336원을 받는다.유통사는49% (3.43원)을 징수하고 평균 수수료20%를 떼가기 때문에 제작사는2.744원을 받는다.
저작권자는 작곡가,작사가,편곡가를 의미한다.저작권자에게 가는0.637원 중 작곡가와 작사가는 각40% (0.2548원)을 가져가고 편곡가는20% (0.074원)을 가져간다.
실연자는 주실연자와 부실연자로 나뉘며 각자50% (0.168원)을 가져간다.보컬은 주실연이고 악기세션들은 부실연이다.아이유는 솔로가수이기 때문에 주실연자 수익에서 또N분의1할 필요는 없다.그러므로 아이유가 가수로서 가져가게 되는 실연자 수익은 스트리밍1회 당0.168원이다.
2. 멜론 일간차트 스트리밍 횟수
피처링을 제외한 “아이유/이지은/IU” 이름으로 저작권료가 들어가는 곡은 총 127곡이다. 2020년 11월 27일 멜론 일간차트의 스트리밍 횟수와 각 곡의 저작권 비율을 정리했을 때 이런 모습이다. (너무 길어서 일간차트 TOP 1000까지만 올린다).
![[정리충] 아이유가 비활동기일 때의 음원 스트리밍 수익을 추정해보자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cached_img/upload/2020/11/29/23/cacf3dc6aec3703f083332f89f2539da.jpg)
3. 저작권 비율로 스트리밍 횟수를 계산하는 법
예를 들자면 ‘사랑이 잘’에서 아이유는 연주 (보컬) 100%, 작사 50%, 작곡 33%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멜론에서 ‘사랑이 잘’의 하루 스트리밍 횟수는 23641회이다.
연주자 아이유는 ‘사랑이 잘’로 23641*100% = 23641회의 저작권료를 받는다.
작사가 아이유는 ‘사랑이 잘’로 23641*50% = 11820.5 회의 저작권료를 받는다.
작곡가 아이유는 ‘사랑이 잘’로 23641*33% = 7801.53회의 저작권료를 받는다.
4. 아이유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127개의 곡은 하루에 총 1646439회 스트리밍 되었다.
아이유가 연주자로 등록되어있는 곡들을 저작권 비율로 계산했을 때 하루 총 스트리밍 횟수는 1593708회이다.
아이유가 작사가로 등록되어있는 곡들을 저작권 비율로 계산했을 때 하루 총 스트리밍 횟수는 640878회이다.
아이유가 작곡가로 등록되어있는 곡들을 저작권 비율로 계산했을 때 하루 총 스트리밍 횟수는 221234회이다.
아이유가 편곡가로 등록되어있는 곡들을 저작권 비율로 계산했을 때 하루 총 스트리밍 횟수는 44978회이다.
5.이제 비율로 계산된 횟수들과 곡당 저작권료를 곱해서 총 수익을 계산해보도록 한다.
2020년 11월 27일 멜론 일간차트 기준으로 비활동기의 아이유는:
연주자로서 1593708 * 0.168원 = 267,743원의 저작권료를 가져간다.
작사가로서 640878 * 0.2548원 = 163,296원의 저작권료를 가져간다.
작곡가로서 221234 * 0.2548원 = 56,370원의 저작권료를 가져간다.
편곡가로서 44978 * 0.074원 = 3,328원의 저작권료를 가져간다.
그러므로비활동기의 아이유는 멜론 스트리밍으로 하루에 약 490,737원의 저작권료를 번다.
*멜론 이외의 다른 음원사이트들 (지니, Flo, 벅스 etc.)에서 오는 저작권료는 포함되지 않은 추정금액이다.
*다운로드를 제외한 오롯이 스트리밍으로부터 오는 추정금액이다. 다운로드는 곡당 평균 단가가 약 369원이다 (스트리밍은 곡당 단가가 겨우 7원이다).
*아이유는 특히나 활동기와 비활동기 때 총 스트리밍 횟수 차이가 많이 나는 가수이긴 하다. 컴백하면 다른 곡들 스밍 횟수도 엄청 많이 뛴다. 그거 감안하고 봐주길 바람.
6. 내 개인적인 의견
결론적으로… 한국에서 음원만으로 먹고살긴 너무 힘들다. 일부러 국내 음원 파워 1위 가수로 계산해본 건데 플랫폼 하나에서 하루 총 스트리밍 횟수가 160만이 넘어도 수익은 겨우 50만 원이라니… 이게 말이 되는 건지 모르겠다. 이상한 놈들이 중간에서 돈을 다 가져가버린다.
다른 가수도 계산 해달라는 댓글은 사양한다 (나 힘들어...). 아이유 활동기 때 자료는 구하기 어려워서 지금 당장은 못해주고 아이유 컴백하고 내 혐생이 허락해준다면 다시 한 번 계산은 해보겠음. 그게 언제가 될지는 나한테 물어보지 말고 아이유한테 물어봐 컴백 언제 할 건지.
지금 당장 알려줄 수 있는 건 우리나라에서 스밍+다운으로 봤을 때 성적 1위인 밤편지가 총합 다운로드 500만 이상이고 총합 스트리밍 3억 이상임. 가장 최소금액으로 잡았을 때 2017년 기준 다운로드 곡당 단가가 평균 255.7원이고 스트리밍 곡당 단가는 7원으로 잡아보자. 계산해보면 곡 하나로 음원 총매출이 최소 35억은 넘었을 거임. 거기서 멜론 지니 벅스 이런 애들이 양심도 없이 12억 정도 꿀꺽했을 거고 유통사가 3억 정도 꿀꺽, 아이유 소속사가 한 13억 정도 꿀꺽.. 나머지 7억에서 저작권협회랑 실연자연합회가 또 수수료 떼어가고 그러면 결국 음악 만드는 사람들한테 가는 거는 5억 정도라는 소리임. 근데 그 안에서 또 가수, 작곡가, 작사가, 편곡가, 밴드 세션 등등등이랑 다 나눠야 됨ㅋㅋㅋ 아이고 답 없다~
(긴 글 읽어줘서 대단히 고마움)
* 비회원 참여 가능